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시각이 27일 오전 0시 55분으로 확정됐습니다.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6일 오후 7시 30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기술적 준비 상황, 기상 상황, 우주 환경, 우주물체와의 충돌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이같이 결정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연료와 산화제를 충전하기 위한 엄빌리컬 연결, 기밀점검 등 모든 작업이 마무리됐습니다.
오후 6시 45분 발사관제장비 발사 운용을 시작했으며 7시 25분부터 추진 공급계 점검, 상온헬륨 충전도 진행하는 당 발사 준비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 중임을 확인했습니다.
기상 상황도 발사 시각 기준 구름 없는 맑은 기상이 예상되며 강수 확률은 0%로 확인됐습니다.
바람도 지상풍 평균 풍속이 초당 1m로 양호하고 고층풍도 발사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뢰 가능성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태양흑점 폭발 등 우주환경 영향도 없으며 국제우주정거장(ISS) 등 우주 물체와 충돌 가능성도 없는 것으로 판단됐습니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어제는 기상 상황이 별로 좋지 못했는데 날씨가 화창하고 바람도 잔잔해 전체적으로 발사하기위 아주 최적의 조건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누리호 발사를 위한 주요 절차인 추진제(연료, 산화제) 충전을 이날 오후 10시 10분 시작, 오후 11시 25분쯤에 연료 충전이 완료되고 오후 11시 55분쯤 산화제 충전까지 마칠 예정입니다.
누리호는 발사 10분 전인 27일 오전 0시 45분부터 발사 자동운용(PLO·Pre Launch Operation)에 들어갑니다. 자동 운용 중에 이상 현상을 감지하게 되면 발사가 자동으로 중단됩니다.
윤 청장은 발사 시각에 대해 "우주충돌 위험 분석을 사전에 했고 위험성이 가장 적은 시간인 55분을 택했다"고 설명하고 "낙하지점도 주변에 아무것도 없는 안전한 곳 선정해 정했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될 것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번 발사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총조립을 맡고 발사 운용도 참여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며 발사관리위원회에도 한화에어로 간부진이 참여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 성공 기준에 대해 그는 "위성이 원하는 고도에 오르고 고도에서의 속도를 만족하며 주탑재체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 부탑재체인 큐브위성 12기를 동시에 성공적으로 발사하는 그런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 청장은 "실무진들이 야간 발사 첫 경험이라 조금은 어려운 점이 있다면 있었으리라 생각한다"며 "어제도 기상 상황이 좋지않아 발사대까지 이송하는 과정에 약간 지연이 있었지만 순조로이 이송을 마쳤고 현재까지는 특별한 이상 없이 모든 점검을 문제없이 차질없이 잘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윤 청장은 "우주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탑재위성을 성공적으로 목표 궤도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발사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