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의과학대학원 한진주 교수팀은 인하대 의대 김양식 교수팀과 함께 우울증이 단순히 기분 문제만이 아니라 몸 전체의 면역 반응 이상과 깊이 연결돼 있고, 면역 이상이 뇌 기능에도 영향을 미쳐 면역-신경 축의 불균형이 핵심 원인임을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비전형 증상(과다수면·과식 등)과 정신증상을 보이는 여성 우울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 분석, 단일세포 분석, 혈장 단백질 분석, 환자 유래 뇌 오가노이드를 결합한 정밀 분석을 실시했습니다.
연구 결과, 우울증 환자에서는 뇌세포 간 신호 조절에 중요한 단백질(DCLK3·CALY)이 많이 늘어나 있었고, 면역 반응을 과도하게 키우는 보체 단백질 C5도 증가했습니다.
즉, 몸 안에서 뇌 기능과 면역 기능이 모두 지나치게 활성화돼 균형이 깨진 상태라는 뜻입니다.
이를 통해 우울증이 단순한 심리 문제가 아니라 몸 전체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 변화와 연결돼 있다는 단서가 확인된 것입니다.
또 우울증 환자의 면역세포를 살펴보니 염증 반응이 평소보다 쉽고 강하게 일어나도록 만드는 유전자 변화가 발견됐습니다.
환자 유래 뇌 오가노이드에서는 성장 저하와 신경 발달 이상이 동반돼 면역 이상이 뇌 기능 변화와 맞물려 질병을 악화시킬 가능성을 뒷받침했습니다.
우울장애의 핵심 기전이 면역 체계와 뇌 기능이 동시에 달라지는 면역-신경 축의 불균형임을 보여준 것입니다.
이번 연구는 우울증에 대한 객관적 진단이나 치료에 적용할 생체지표가 없는 상황에서 앞으로 면역·신경 기반의 새로운 진단 지표와 치료 전략 개발을 위한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10월 31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