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세계 최초 의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서버 안의 CPU, 메모리, 가속기 같은 핵심 자원을 빛으로 자유롭게 연결·분리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광 스위치 기반 데이터센터 자원연결(OD)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데이터센터는 하나의 서버 안에 CPU, 메모리, 스토리지, 가속기(GPU) 등이 고정적으로 묶여 있습니다.
이 때문에 어떤 서버는 메모리가 남고, 다른 서버는 CPU가 모자라는 등 서버마다 자원 활용 편차가 커 전체 효율이 떨어지는 구조적 한계가 있었습니다.
또 대부분 데이터센터는 전기 신호 기반 스위치를 사용해 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신호 변환이 반복돼 지연(딜레이)이 발생하고, 초고속 연결이 필요한 AI 학습 환경에서는 속도와 효율을 동시에 확보하기 어려웠습니다.
ETRI 연구진은 빛을 이용한 의 데이터센터 자원 연결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서버의 메모리나 가속기가 부족할 때, 다른 서버의 자원을 빛 신호로 즉시 연결해 마치 하나의 서버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겁니다.
이를 통해 AI 학습이나 대규모 데이터 분석 등 고성능 연산이 필요한 작업에서도 필요한 자원을 필요한 순간 빠르고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번 기술은 원격 메모리 접속 표준(CXL)을 광스위치로 연결한 세계 최초 사례로, 글로벌 데이터센터 기술 경쟁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진은 자체 개발한 CPU 어댑터, 메모리 블레이드, 가속기 블레이드, OD 매니저를 결합한 검증 시스템을 구축해 실증을 완료했습니다.
실험 결과, 프로그램이 추가 자원을 요청하면 광 경로가 자동으로 설정돼 메모리 등 필요한 자원이 실시간으로 할당되고,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ETRI는 이번 기술과 관련해 CXL 원천특허를 포함한 국내외 특허 47건을 출원했으며, 광통신 분야 최고 권위 학회인 광섬유통신 컨퍼런스 및 전시회(OFC)와 유럽 광통신 학술회의(ECOC)에서 연구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