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가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해 교통사고를 막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해 지난 8월부터 천안지역 교차로 4곳에 실증 운용하고 있습니다.
기존 보행자 알림 시스템은 사람이 수동으로 검지(檢知) 영역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이 때문에 길을 건너지 않는 행인도 위험으로 인식해 불필요한 경보를 울리거나 검지 영역 밖 차도 구간에 대해서는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등 오류가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CCTV 카메라, 운전자용 전광판, 제어기, 원격 영상 분석 서버로 구성된 예지형 보행자 안전 AI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CCTV 영상을 분석해 2초 안에 도로 지도를 자동 생성하고, 횡단보도와 차도 전체 영역에 대한 위험을 식별하고 실제 교통 환경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들어서기 약 3초 전부터 운전자용 전광판에 위험 신호를 띄웁니다.
실제로 길을 건너는 보행자만 인식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경보를 줄이고, 우회전 차량이 사각지대의 보행자까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천안역 인근과 터미널사거리 등 유동 인구가 많은 네 곳에서 실증이 진행 중입니다.
ETRI는 앞으로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해 보행자에게 음성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또 이 기술을 물류센터나 건설 현장 등 산업 안전 분야로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며, 2027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문진영 박사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예측해 운전자에게 3초 먼저 알려주는 새로운 교통안전 기준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지자체와 협력해 교차로 안전 체계를 고도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