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tjb

"옷처럼 입는 로봇 현실로"…'근육옷감' 자동으로 짜낸다

기사입력
2025-10-29 오전 10:57
최종수정
2025-10-29 오전 10:57
조회수
45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한국기계연구원 AI로봇연구소 박철훈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의 근육구동기로 쓰이는 가볍고 강력한 근육옷감을 자동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직조장비를 개발했습니다.

근육옷감은 10g의 무게로 10~15㎏을 들어올릴 수 있어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의 핵심 구동기로 활용됩니다.

연구원이 개발한 자동직조장비는 지름 25마이크로미터, 머리카락 4분의 1 굵기의 형상기업합금 실을 코일 형태로 가공해 근육옷감을 연속으로 엮어내는 기술입니다.

기존 형상기억합금 코일실은 금속 중심선 때문에 잘 늘어나지 않아 자동 직조가 어려웠지만, 연구진은 중심 소재를 천연사로 바꾸고 직조 구조를 새로 설계해 대량 생산에 성공했습니다.

기존 웨어러블 로봇은 무겁고 소음이 큰 모터나 공압 구동기를 적용해 일부 관절만 제한적으로보조하는 데 그쳤고, 특히 어깨처럼 복잡한 관절에는 능동 보조가 어려웠습니다.

이번에 개발한 근육 옷감은 실제 사람의 근육처럼 유연하게 움직여 팔꿈치, 어깨, 허리 등 복잡한 관절에도 자연스럽게 순응합니다.

연구진은 이를 적용해 팔꿈치·어깨·허리 세관절을 동시에 보조하는 2kg 미만의 경량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해 근육 사용량을 40% 이상 감소시켰습니다.

또 840g 무게의 초경량 어깨 보조 로봇을 구현해 근육 약화 환자도 일상에서 부담 없이 착용하고 휴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실제 근육 약화 환자에게 적용한 임상시험에서 어깨 움직임이 57퍼센트 이상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번 성과로 근육 옷감을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웨어러블 로봇의 상용화와 대중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입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재활공학 분야의 국제적 권위 학술지, TNSRE(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10월호에 실렸습니다.

TJB 대전방송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