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관계 악화로 인해 일본을 찾던 중국 관광객 일부가 한국으로 방향을 돌리면서 국내 엔터테인먼트·호텔·백화점 업종이 반사수혜를 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NH투자증권은 25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시사 발언을 계기로 중국이 대(對)일본 보복 조치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관광 수요 이동이 국내 소비·서비스업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보고서는 “2010·2012년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갈등 당시보다 중국의 경제력과 영향력이 크게 높아져 보복 수단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다만 “과도한 충돌은 중국에도 부담이 되기 때문에 희토류 수출 규제처럼 고강도 수단을 쉽게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중·일 간 ‘관리되는 긴장’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NH투자증권은 국내 항공운송을 비롯해 미디어·엔터, 화장품·패션, 유통업 등에서 반사이익이 발생할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특히 호텔·카지노 부문에서는 “한일령(限日令) 반사 수혜는 해외여행 중심의 아웃바운드보다 한국을 방문하는 인바운드 수요에 더 유리하다”며 “원화 약세로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5성급 호텔까지 수요 회복세가 확대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엔터테인먼트 산업도 긍정적으로 전망했습니다.
보고서는 “중국이 소비 진작을 위해 공연을 적극 활용하고 있어 중국 아티스트의 공백을 한국 아티스트가 대체할 수 있다”며 “아레나급은 물론 스타디움급 공연 재개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유통업 가운데서는 면세점보다 백화점이 더 큰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NH투자증권은 “면세점은 올리브영 등 대체 채널 부상으로 외국인 선호도가 낮아졌고, 공항 면세점 임대료 구조상 관광객 증가가 단기 실적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반면 백화점은 방한 중국인 수요를 빠르게 흡수할 것으로 봤습니다.
보고서는 “명동·코엑스·여의도 등 외국인 방문이 많은 점포 중심으로 고성장이 기대된다”며 “원화 약세로 국내 백화점 명품 가격 경쟁력이 높아진 점도 긍정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