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의 16개 마을 경로당에서 오늘부터
비대면 진료 시범 운영이 시작됐습니다.
처방받은 약도 전담 간호사가
대신 받아 전달합니다.
의료 접근성이 낮은 농촌지역에
현실적인 대안이 될지 주목됩니다.
김민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원의 한 산촌마을.
병원 한번 가려면
하루 석 대 뿐인 버스를
한 시간 넘게 타야 합니다.
마을 어르신들이 오늘은 병원 대신
집 앞 경로당에 앉아 진료를 받습니다.
[오늘 뭐 보실 거예요? (눈하고 옆구리, 허리. 그것 밖에 없어요.)]
기본 검사를 마친 어르신들은
남원 시내의 한 병원과
화상으로 연결됩니다.
[양윤정/의사 :
물리치료는 꾸준히 받으셔야 돼요. 먹는 약만 가지고는 안 돼요. 약 처방해 드릴게요.]
남원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한
경로당 비대면 진료 서비스입니다.
[김영조/소석마을 주민 :
가깝고. (버스 타러) 안 나가도 되고. 차도 없고, 아무 것도 없는데. 한 번 (병원에) 나가려면 힘드니까.]
의사가 처방한 약은
전담 간호사가 대신 받아 주민들에게
전달합니다.
[양태경/간호사 :
혈압, 혈당, 산소 포화도까지 측정을 해 가지고 병원과 연동해서 의사선생님이 그거를 보면서 진료를 할 수 있게...]
남원지역 16개 거점 경로당에서
앞으로 3년간 시범사업을 진행한 뒤
확대 여부를 결정할 계획입니다.
[최경식/남원시장 :
남원시 전체 인구의 34% 정도가 65세 이상입니다. 그분들이 약처방을 받고 생활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해서....]
의료 접근성이 낮고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 많은 농촌지역에
비대면 진료서비스가 대안이 될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JTV 뉴스 김민지입니다.
김민지 기자
[email protected](JTV전주방송)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