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개발공사가 지난해
공공임대 아파트의 보일러와 주방가구를
전면 교체하는 사업을 벌였는데요,
이 과정에서 예산 낭비 논란과 함께
특혜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전북자치도의회는 감사위원회에 감사를
의뢰하기로 했습니다.
정원익 기자입니다.
전북개발공사는 지난해 전주와 익산의
공공임대아파트 2곳, 1천1백여 세대의
보일러를 한꺼번에 교체했습니다.
투입된 예산은 모두 14억 원.
하지만 개별 교체가 원칙인 내부 규정을
무시한데다 대행업체를 선정하면서
수억 원의 예산을 낭비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보일러 대리점과 직접 계약했다면
1대당 85만 원에 가능했지만 대행업체를
거치면서 110만 원으로 비용이 늘었다는
겁니다.
[김대중/도의원 :
콘덴싱 업체하고 수의계약을 맺어서 납품을 하면 되지, 왜 제 3자가 콘덴싱을 구매를 해서 여기에 납품을 하냐고요.]
또, 싱크대 등 주방가구 교체 과정에서도 특정 업체와 수십억 원대 수의계약을
맺으면서 특혜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김동구/도의원 :
24년부터 25년까지 6건에 38억 6천7백만 원이 넘어요. 그러면 그 업체 하나한테 38억이 넘는 것을 다 수의계약을 했다는 말이에요?]
도의회는 관련 사업의 세부 집행 내역을
제출받은 뒤 감사위원회에 감사를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급속히 확산 중인 소나무 재선충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지난해 4월부터 올해 5월까지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는 1만 그루로
1년 전의 3배 이상 늘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방제 예산이 25억 원에 그치면서
방제가 충분히 이뤄지지 못했고
올해는 80억 원을 투입하고도 확산세를
막지 못했다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임승식/도의원 :
산림 재난이면 그만큼 예산을 잡아서 뿌리를 뽑아야지 지금 장수까지 번졌다고 하면 동부권의 산림 어떻게 책임지시려고 그래요?]
전북자치도는 산림청에 긴급 예산을
요청하고, 완전 방제에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늦장 대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JTV 뉴스 정원익입니다.
정원익 기자
[email protected](JTV 전주방송)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