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구속으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자치단체들의 움직임도 분주해졌습니다.
전북자치도는 대선이 앞당겨질 경우
터덕거리고 있는 지역 현안을 해결하고,
새로운 신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사실상 차기 대선 공약을 마련하는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변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지난 2006년부터 추진돼온
전주-김천 간 동서 횡단 철도 사업.
어느덧 20년이 다 돼 가지만
지난달 기재부 심사에서도 예타 대상에
끝내 이름을 올리지 못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공약인
제3금융중심지 지정은 추진 동력을 잃었고,
지난해 예정됐던 제2중앙경찰학교 부지는
탄핵 정국이 수습돼야 결정될 전망입니다.
[김황중 /
전북자치경찰위원회 팀장 (1월 5일) :
정치권과 공조해서 다각적으로
(남원시가) 최종 부지로 선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처럼 주요 현안이 안갯 속인 가운데
전북자치도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일명 메가비전 프로젝트 추진단을 구성해,
경제와 SOC 등 8개 분야에서 대표 사업을
발굴한다는 계획입니다.
[변한영 기자 :
전북자치도는 지지부진한 기존 사업을
재추진하는 데 무게를 두고 있는데,
조기 대선 가능성이 점쳐지는 상황이어서
공약에 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또, 사업의 명분을 쌓기 위해
다른 시도와 공조할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하는 데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려의 시선도 적지 않습니다.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후보자들마다
공약을 남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윤 대통령의 경우 전북 공약 46건 가운데
현재 완료된 건 새만금 국제투자진흥지구 지정 단 1건뿐입니다.
[천영평 / 전북자치도 기획조정실장 :
실현 가능성 있게 좀 더 다듬고
정부 부처의 현안 과제로 좀 반영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야...]
전북자치도는 이달 안에
20개 안팎의 과제를 확정한다는 계획.
공약 발굴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설득력 있는 논리 보강에 더욱
공을 들여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JTV NEWS 변한영입니다.
(JTV 전주방송)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