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div><span style="-webkit-text-size-adjust: 100%;"><span style="color: rgb(103, 106, 108); font-family: "open sans", "Helvetica Neue", Helvetica, Arial, sans-serif; font-size: 14px;">#{MEDIA_1}</span>웹툰 작가를 꿈꾸지만 생계를 위해 녹즙 배달에 뛰어든 30대 비혼 여성이 현장에서 겪는 일들을 그린 장편소설 '녹즙 배달원 강정민'의 김현진 작가입니다.</span></div><div><br></div><div>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작은 책방 '책자국'이 4월부터 진행 중인 '작가의 책상' 시리즈 북토크 7월의 초대작가입니다.</div></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div><br></div><div>한 작품이 탄생하기까지 '메이킹(making)' 스토리를 작가에게 직접 들어보는 자리입니다.</div></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고등학교를 두 달 만에 나와 18살 나이에 쓴 청소년 성장에세이 '네 멋대로 해라'로 세상의 주목을 받은 작가는, 이후 에세이스트이자 칼럼니스트 그리고 소설가로서 폭넓은 층의 독자들에게 사랑받으며 20년 넘게 꾸준히 글을 쓰고 있습니다.</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십대 시절부터 단편영화 감독, 웹진 최연소 편집장,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최연소 합격 등 화려한 타이틀을 달기도 했지만 '88만원 세대'이자 비주류인 자신의 위치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직업을 전전했습니다.</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한 때 녹즙 배달원으로 일한 경험을 써내려간 소설이 '녹즙 배달원 강정민'입니다.</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여성작가-노동자로서 '일하기-글쓰기' 의미 조명</b></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span style="color: rgb(103, 106, 108); font-family: "open sans", "Helvetica Neue", Helvetica, Arial, sans-serif; font-size: 14px;">#{MEDIA_2}</span><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고달픈 현실을 잊으려다 빠져든 알콜의존증, 특수고용직 노동자라는 불안정한 위치, 녹즙값을 상습적으로 연체하거나 성희롱을 일삼는 손님들까지. </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폭력적이고 부조리한 상황이 거듭되며 일상은 위태로워지지만, 순탄치 않은 삶에도 명랑함을 잃지 않으며 꿈에 다가서는 주인공 '강정민'의 이야기는 어디까지 경험이고 어디부터가 허구인지 경계를 넘나들며 혼재돼 현실감을 더하게 만듭니다.</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북토크에서는 어려서부터 강단있게 세상과 맞서온 여성작가이자, 약자들과 연대해 치열한 삶을 꾸려가는 여성노동자-김현진 작가에게 있어 '일하기와 글쓰기'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야기를 나눠보는 자리로 진행됩니다</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7월 16일 오후 6시부터 시작되는 1부에서는 '1년 10개월이나 할 생각은 없었는데, 녹즙'을 주제로 김현진 작가의 강연이 마련됩니다.</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다양한 직업과 노동현장 안팎에서 경험한 문제들, 좌절과 극복과 성장 서사를 작가 특유의 ‘삐딱한 건강함’으로 솔직하고 유머러스하게 풀어낼 것으로 기대됩니다.</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17일 같은 시간 열리는 2부는 심층토크 형식으로 장혜령 시인이 사회를 맡아 ‘녹즙 배달원 강정민’에 서린 작가의 심층의식으로 한걸음 더 들어갑니다. </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특유 글쓰기 방식에 현장감 있게 접근"</b></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착상에서 작업으로, 작업에서 작품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느꼈던 기쁨과 슬픔, 고민했던 지점은 물론 자신이 겪은 일들을 그대로 글감으로 삼는 특유의 글쓰기 방식에 대한 탐구 등 책보다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책자국 '작가의 책상'은 한국작가협회가 주최하는 '2022년 작가와 함께하는 작은서점 지원사업'의 후원으로 10월까지 매달 2회 마련됩니다. </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br></div><div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26, 26, 26, 0.3); font-family: NanumSquare,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5px;">참가 신청, 문의는 책자국 인스타그램 DM 등에서 받고 있습니다.</div>
JIBS 제주방송 김지훈(
[email protected]) 기자
<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