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한국관광공사 2021 걷기여행실태조사결과
걷기 경험률,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
2030세대 걷기여행 참여 지속 '증가세'
올해도 "코로나 무관, 걷기여행 나설 것"</b>
지난해 걷기여행을 떠난 이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길은 '제주올레'로 나타났습니다.
2030세대의 걷기 참여도가 높아지고 주요 여행지 걷기코스 참여도가 코로나 펜데믹 이전 수준까지 회복했습니다.
올해 역시 걷기여행 붐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이에따른 연관 마케팅을 통한 유입효과 확산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b>"3명 중 1명 걷기 경험"</b>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19일 발표한 2021 걷기여행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국민 걷기여행 경험율은 35.2%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37%)에 근접했습니다.
참여이유는(복수 응답)는 신체건강 증진이 67.6%로 가장 많고 자연과 교감(52.3%), 스트레스 해소(50.9%)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대별 고려하는 요소는 비중이 엇갈립니다.
신체건강 증진은 중장년층, 2030 등 청년층은 스트레스 해소를 고려한다는데 비중을 더 두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제주올레길, 중문둘레길 선호도 높아</b>
제주 걷기 길이 상위 답변에 다수 올랐습니다.
제주올레길이 16.6%로 가장 많고 동해 해파랑길(8.3%), 부산 갈맷길(5.1%), 이어 제주 중문둘레길(5.0%)과 남해 남파랑길 순으로 꼽혔습니다.
걷기 목적지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소는 자연경관의 매력성 91.5%, 볼거리의 다양성 88.8%, 코스 관리상태 88.3% 등을 꼽았습니다.
<b>당일여행 비중 늘어</b>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당일 여행 증가세가 눈에 띄었습니다.
이용 형태를 보면 당일여행이 69.4%로 숙박여행(30.6%)을 크게 웃돌았습니다.2019년 42.8%, 2020년 54.8%에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지출비용은 1회 평균 11만7,101원으로 2.9% 늘었습니다.
<b>걷기여행 붐 예상...연관 마케팅 지속돼야</b>
지난해 76.6%가 코로나19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고, 올해도 61.6%가 코로나19 관계없이 걷기여행에 참여하겠다고 답해 걷기 여행 붐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제주관광공사는 세대별 수요 특성을 고려한 적극적인 홍보마케팅이 걷기 여행의 매력을 널리 알려나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email protected]) 기자
<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