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다랑쉬굴 유해 발굴 30주년, 시작부터 과정 담아
"4·3 진상 규명 의의, 과거 성찰 시간 제공" 취지
4월 11일~9월 30일까지 4·3평화기념관 기획전시실</b>
다랑쉬굴 유해 발견의 시작부터 30여 년간 '현재진행형'으로 4.3의 진실을 알리는데 기폭제 역할을 해온 자료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습니다.
발견 당시부터, 그 이후 상황과 발굴 과정을 기록한 문서자료부터 신문, 영상물을 한데 모았습니다.
제주4·3평화재단이 다랑쉬굴 유해발굴 30주년을 맞아 11일 오후 4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9월 30일까지 제주4·3평화기념관 2층 전관에서 다랑쉬굴 유해발굴 30주년 특별전 '다랑쉬 30'을 개최합니다.
<b>'다랑쉬굴' 시작과 의의</b>
시작은 1992년, 다랑쉬굴의 어둠 아래 묻혀 있었던 11구의 4·3희생자 유해가 발견되면서부터입니다.
1948년 12월 아이와 여성들까지 토벌대에 의해 희생되었지만, 유해가 발견된 후 주검은 무덤에 안장되지 못한 채 화장돼 바다에 뿌려졌습니다.
4·3의 참혹상이 '진행형'임을 증언한 다랑쉬굴 발굴은 4·3의 참상을 전국에 알리는 계기가 됐고 4·3진상규명운동의 기폭제가 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b>1,2부 전시공간으로 구성</b>
특별전은 1부·2부로 나눠 진행됩니다.
4·3 당시 문서와 이후 다랑쉬굴 발견 당시 기록과 영상, 사진들을 접목해 다랑쉬굴 발굴의 의미를 관람객들에게 전합니다.
제1부 전시관은 '언론이 본 다랑쉬굴 유해발견'으로 당시 언론 자료를 스크랩한 패널을 전시했습니다.
'방송자료로 보는 다랑쉬굴 유해발견'에선 당시 방영자료와 2002년 10주년 당시 인터뷰 영상으로 구성했습니다.
1부 1관은 △다랑쉬굴 유해발굴 경과일지 △1948년 겨울 다랑쉬굴의 피신 그리고 학살 1부 2관에서는 △4·3 학살 쇠망치, 1992 다랑쉬굴 유해발견 △봉인된 '다랑쉬굴', 망각된 '다랑쉬굴 유해발굴 사건' △다시 보는 다랑쉬굴 10주년 '살아남은 자들의 흰그늘' △다랑쉬굴 발굴 30년 회고로 구성됐습니다.
제2부 전시관은 당시 다랑쉬굴 발견부터 유해들이 한 줌 재가 돼 뿌려지는 모든 과정을 카메라에 담아낸 사진작가 김기삼의 ‘다랑쉬굴 사진’으로 채웠습니다. 유해와 일본제 군화 등 개인 소지품, 굴 내부의 모습과 서둘러 치러진 장례식 모습도 함께 합니다.
<b>유족 편지, 회의록 등 원본 전시</b>
전시에서는 또 다랑쉬굴에서 아버지와 삼촌을 잃은 유족의 한 맺힌 사연을 담은 친필 편지, 경찰과 행정기관의 다랑쉬굴 역사 왜곡을 담은 다랑쉬굴 회의록, 다랑쉬굴 발견 유골 인도 계획도 원본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박경훈 특별전 전시 총감독은 "다랑쉬굴 유해 발견과 발굴의 중요성을 기억하고, 4·3 문제 해결의 의미를 재확인하는 한편 과거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갖도록 전시를 기획했다"고 말했습니다.
양정심 제주4·3평화재단 조사연구실장은 "다랑쉬굴 유해발굴 30주년 특별전과 2021년 4·3아카이브 특별전을 시작으로 기록물 조사와 수집, 아카이빙 등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며 "4·3진상 규명 확장을 위한 재단의 역할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email protected]) 기자
<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