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입국격리면제에 절반이상 "해외여행 알아봤다"
10명 중 6명 국내여행...제주 1위 입지 '굳건'
올 여름 "해외여행 증가세 분기점 맞을듯"
해외입국 격리면제 "방한수요 유치 연계 필요"</b>
'입국자 격리면제 발표'에 따른 해외여행 기대감이 급상승세로 나타났습니다.
아직까진 3,40대의 국내여행 선호도가 높고 '제주'가 희망여행지 1위 입지를 유지했지만 앞으로 해외여행 확대 추이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한 이커머스플랫폼이 지난 22일부터 한 주간 고객 5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외여행 관련 조사에서 응답자 55%가 '해외입국자 자가격리 면제 발표에 해외여행상품을 알아봤다'고 답했습니다.
격리면제 소식에도 '안전하게 떠날수 있는 국내여행을 알아봤다'는 38%, '여전히 집콕'을 택한 응답도 7%로 나타났습니다.
<b>'5060' 해외여행...'3040'국내여행</b>
세대별 차이는 있었습니다.
연령별로 해외여행을 알아봤다는 비중은 50대(66%)와 60대 이상(61%)에서 많았습니다.
국내여행을 택한 비중은 30대와 40대(각 42%)가 가장 높았습니다.
상대적으로 시간·경제적 여유가 있는 50대 이상 고객이 서둘러 해외여행 준비에 나선 것이란 해석입니다.
40% "하반기 가겠다"...내년 상반기 > 올 상반기 순
응답자 40%가 '올 하반기'를 실제 해외여행을 떠날 수 있는 시점으로 꼽았습니다.
내년 상반기(29%)와 올 상반기(11%)로 예상한 응답이 뒤를 이었습니다.
해외입국자 격리면제에 국내 거리두기 방침도 완화되고 있어 올 여름을 기점으로 해외여행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b>'동남아' 수요 가장 많아</b>
가고 싶은 해외여행 지역으론 동남아(41%)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2위는 유럽(25%), 3위는 동북아(14%), 4위는 북아메리카(12%), 5위는 오세아니아(7%)로 나타났습니다.
선호하는 해외여행 컨셉도 ‘바다가 있는 휴양지’가 37%로 선호도가 높았습니다.
동반유형은 '가족'이 53%로 가장 높고 일정은 '5~6'일(38%), '1주 이상'(30%)을 선호했습니다.
<b>'보복소비' 이어질듯</b>
예산 규모도 초저가 여행보다는 이른바 '플렉스'(자신의 능력을 과시할 때 사용. 주로 돈이나 차, 라이프 스타일 등을 자랑함을 뜻함)를 택하는 분위기가 점쳐졌습니다.
1인당 예산을 묻는 질문에 실용적인 금액대인 '50만원~100만원'을 쓰겠다는 응답이 44%로 가장 많았습니다.
'100만원~200만원 이하'는 30%, '200만원 이상 플렉스'도 17%에 달했습니다.
반면 '50만원 미만 초저예산 여행'은 9%에 그쳤습니다.
코로나로 10명 중 7명이 3년간 해외여행을 가지 못했다고 답한 만큼 이른바 '보복소비'에 따른 소비현상이 커질 것이란 관측이 나왔습니다.
<b>10명중 6명은 국내여행...1위 '제주'</b>
국내여행 인기는 여전했습니다.
조사결과 10명 중 6명(65%)이 국내여행 계획을 세웠고 '벚꽃, 튤립 등 꽃 축제 구경'(45%) 계획이 대부분으로, 희망 여행지는 제주도(40%)가 1위로 꼽혔습니다.
<b>해외노선 정상화 속도...방한 수요 '주목'</b>
지난 27일 접종자의 입국격리면제에 이어, 오늘(1)부터 해외 접종자에 대한 격리면제도 시작됐습니다.
접종완료자의 경우 모든 입국자에 대한 의무격리가 면제됩니다.
방역당국은 또 항공편 증편과 탑승제한 해제 등 국제선을 정상화하는 노력도 이어가겠단 입장도 내놨습니다.
이에따라 그간 코로나 19에 억눌린 글로벌 여행수요도 활발히 움직일 것으로 에상됩니다.
앞으로 늘어날 방한 수요를 어떻게 제주로 끌어들이고 순차적으로 제주기점 직항 창구를 넓혀 나갈지가 사실상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제주 관광 성장기점이 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email protected]) 기자
<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