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53년 전 울산석유화학공단의
기공식이 열린 날을 기념해
울산 화학의 날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각종 환경문제를 해결하기위한
탄소중립 시대의 대안으로
바이오화학 산업이 울산의
새로운 주력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김진구 기잡니다.
(레포트)
석유와 목재 성분을 섞어 만든
신개념 비닐이 생산됩니다.
기존 비닐은 썩는데 50년 이상 걸리지만 이 제품은
2~3년이면 충분합니다.
(인터뷰)황성연 바이오화학
실용화센터장
현재 울산화학연구원에서 개발한 아이템을 기업한테 기술이전을
했고 2~3년 안에 상용화를 하기위해 상용화 기술연구를 같이하고 있습니다
--
올해로 15번째 맞는 울산화학의
날 기념식에서도 바이오 화학이단연 화두였습니다.
전세계가 탄소중립을 잇따라
선언하면서 관련 산업계는 이미
친환경 생분해 기술 개발 경쟁에 불이 붙은 상태.
울산은 오는 2040년까지
석유화학산업에서 차지하는
바이오화학의 비중을 현재 1.6%에서 30%까지 높여 세계 5대
바이오화학 중심 도시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싱크)송철호 시장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한발 더 나아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할 시점입니다
35개 기업과 연구소가 바이오
플라스틱을 포함한 핵심 제품과
기술 개발에 협력하자는 공동
선언도 이어졌습니다.
기존 화학제품의 유해성이
재인식되면서 세계 바이오화학
산업은 연평균 18%씩 성장하며
2050년에는 전체 화학산업의
5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클로징)
탄소중립이라는 세계적 기조에
발맞춰 울산의 화학산업이
석유에서 정밀로, 또다시 바이오화학으로 끊임없이 진보를 거듭
하고 있습니다.
유비시 뉴스 김진굽니다.
-2021/03/22 김진구 작성
< copyright © u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