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한국관광공사, 6월 30일까지 11개 기업과 시범운영
제주 등 전국 8개 지역서 원격근무·체험 프로그램
“코로나시대 적합한 근무형태, 관광 수요 발굴 차원” </b>
일(Work)과 휴가(Vacation)를 합성한 워케이션 제주 거점 마련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 차원의 지자체별 새로운 유휴공간 조사와 수요 타진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휴가지 원격근무’라는 새로운 근무 형태 ‘워케이션’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신규 국내관광 수요 창출에 적극 나서기로 했습니다.
시범사업을 통해 워케이션 ‘표준가이드라인’도 마련될 예정이라, 워케이션 프로그램 운영과 사업 추진에도 더 힘이 실릴 것으로 보입니다.
<b>지역발 워케이션 신규 수요발굴 ‘가동’</b>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티몬·휴넷 등 11개 기업의 직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6월 30일까지 제주를 비롯해 부산, 강원 강릉, 평창, 속초, 양양, 경남 남해, 전북 전주 등 전국 8개 지역에서 워케이션 시범사업이 추진됩니다.
참여기업은 근로자 복지 증진과 업무효율을 제고하고 해당 지역은 지역내 유동인구 증가와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b>공유오피스 근무 + 지역체험활동 병행</b>
참여 근로자들은 평일은 해당 지역 호텔 등 숙박시설에서 머물며 지역공유 오피스에서 원격근무를 하고 일과 후에 지역내 각종 체험 활동을 자유롭게 즐기는 일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한국관광공사는 참여 근로자들에 숙박과 체험 비용 일부를 지원하고, 기업은 근로자의 평일 근무를 인정하고 숙박비 일부 등 경비를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b>‘워케이션’ 가이드라인 정립 기대</b>
한국관광공사 안효원 국민관광마케팅팀장은 “시범사업은 민간기업들과 협업해 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근무형태 및 새로운 관광수요를 발굴·개발하는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며“향후 B2B채널을 활용한 기업체 대상 워케이션 상품 판매 지원과 함께, 참여자 의견 수렴 등을 거쳐 향후 워케이션 표준 가이드라인도 정립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b>제주 워케이션, 플랫폼 이용 2배 늘어 </b>
실제 제주 워케이션은 증가 추세입니다. 국내 최대 취미·여가 플랫폼인 ‘F’사가 스타트업 내 MZ세대 직원을 겨냥해 제주도 워케이션 상품(숙소와 공유사무실 제공)을 출시, 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월 56건 정도에 불과했던 워케이션 이용자가 올해 들어 128건으로 2배 이상 늘었습니다.
취미활동(액티비티) 이용률도 같은 기간 2배 정도 늘어나는 등 이용자들의 체험 활동도 증가세로 조사됐습니다.
<b>가고 싶은 워케이션 지역 1위 제주, 성장 정책 ‘힘’</b>
지난해 제주는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워케이션 성장 가능성과 선호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꼽히기도 했습니다.
제주도는 지난해 11월 한 달간 수도권 기업 26개 사 임직원 30명을 대상으로 서귀포시 원도심에서 워케이션 프로그램을 시행해 큰 호평을 얻기도 했는데요. 만족도가 높았는지, 참가자들은 100% 재참여 의사를 밝혔습니다.
올해 제주도는 워케이션 거점 지역을 제주 전역으로 확대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워케이션 유휴공간에 대해, 정부와 공공기관의 수요 발굴조사까지 본격 시작되고 가이드라인 등 표준지표까지 마련되면서, 제주가 실질적인 워케이션 메카 입지를 높여나갈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email protected]) 기자
<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