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jibs

제주와 바다, 삶이 담긴 포구를 아시나요?

기사입력
2022-03-03 오후 6:53
최종수정
2022-03-03 오후 6:53
조회수
157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제주 올레 카약클럽 제공
포구는 말 그대로 배가 드나드는 곳입니다.

제주에서 가장 유명한 포구로는 태풍의 길목으로 불리는 '법환포구'가 있습니다.

섬인 제주에서 포구는 어업기반시설이자 경제의 근원지라 할 수 있습니다.

<b>제주의 옛 기록 속 포구</b>

제주의 전통포구는 어업활동을 위해 테우 등 선박 정박을 위해 돌담으로 방파제를 쌓았습니다.

조선 숙종 때 '남환박물'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이 나와 있습니다.

"사방 둘레는 검석으로 둘러쳐져 있어 썰물과 밀물에 관계없이 배를 붙일 만한 포구가 귀할 수 밖에 없는 섬"이라고 돼 있습니다.

또다른 기록인 조선 선조 때 씌여진 제주방문기인 '남사록'에도 "해변 물이 얕은 곳은 바위가 검극이다. 그래서 배를 잘 부리는 자가 아니면 반드시 배를 부수고 만다"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배를 대기가 쉽지 않았지만 어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던 제주인의 입장에서 포구는 생명을 지켜주는 곳이었습니다.

<b>사라져가는 포구.. 관심 높여야</b>

하지만 자연마을이 사라지고, 그곳에는 해안도로와 큰 어항 등이 만들어지며 마을에 있던 포구도 하나 둘 씩 자취를 감췄습니다.

그리고 포구가 갖고 있던 역사도 함께 사라지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가 지난 2010년 전수조사 한 결과 제주시에는 20곳, 서귀포시에는 15곳 등 모두 35곳의 포구가 과거의 모습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그리고 지난 2015년부터 복원 사업이 조금씩 진행되고 있습니다.

게다가 최근 몇 년 사이 해양레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민간에서도 포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실제 제주의 한 카약클럽에서는 오늘(3일) 제주의 포구를 주제로 강연회를 갖기도 했습니다.

포구를 통해 친환경 해양스포츠를 키우고, 해안마을의 독특한 문화를 알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들에게 있어 포구는 제주바다와 삶을 이해하는 소중한 유산인 셈입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email protected]) 기자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