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대전은
광역시 가운데
유일하게
국립 문화시설이
하나도 없습니다.
정부는
이건희 미술관까지
수도권 입지를 결정하자
못내 미안한 지
지방에
국립문화시설 확충에
나설 예정입니다.
대전시가
옛 충남도청에
국립미술품
수장보존센터 유치를
추진중인데,
성공할 지 주목됩니다.
서울방송센터
김석민 기잡니다.
【 기자 】
옛 충남도청사를 활용한 국립근현대사 박물관 건립은 이명박 정부의 대선 공약이었습니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도 옛 충남도청에 국립
문화시설 조성을 약속했지만 이번에도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대전시가 국회 방문을 통해 옛 충남도청 자리에 국립 미술품 수장보존센터 유치를 위한 시동을 걸었습니다.
국립 미술품 수장보존센터는 근대문화유산인
옛 충남도청사 활용과 부합되고, 국립 문화시설이 없는 대전시민들의 문화적 갈등도 함께 해소할 수 있다는 취집니다.
무엇보다 옛 충남도청 부지가 정부 소유로
예산이 크게 절감된다는 점은 장점으로
꼽힙니다.
국립 미술품 수장보전센터가 옛 충남도청에
세워지면 수십만명의 관람객이 방문해 지역상권 활성화도 기대됩니다.
▶ 인터뷰 : 허태정 / 대전시장
- "재산권이 문체부 소유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행정절차 없이 바로 사업 집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어떤 사업보다도 가능성이 높은 사업이 되겠습니다.
특히, 현재 국립 현대미술관 수장고의 평균
수장률은 91%로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 만큼 추가 공간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최근 기증 받은 이건희 미술품을 제외하고도
국립 현대미술관이 기증 받고 있는 작품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124점에 이르고 작품 대량 기증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건희 미술관 수도권 입지 결정 이후 지방 국립 문화시설 확충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황희(지난 7월) / 문화체육부 장관
- "권역별 분포와 수요를 고려한 국립문화시설 확충과 지역별 특화된 문화시설에 대한 지원방안에 대하여도 적극 검토해 나가겠습니다."
다만 창원시가 국립 현대미술관 분관 유치에
나서는 등 전국적인 유치 경쟁이 치열하고,
관련 예산 증액도 필요한만큼, 사업추진이 쉽지않을 전망입니다.
TJB 김석민입니다.
(영상취재 이은석 기자)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