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지역 곳곳에서 재개발 광풍이 불고 있다는 소식 연속해서 전해드렸는데요.
주민들의 주거가치 상승 욕구는 당연하지만, 투기판으로 변질될 수 있는 부분을 간과한 부산시의 엇박자 정책이 과열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김건형 기자의 집중취재입니다.
[기자]
"최근 10년간 동부산권 아파트 가격은 곱절 안팎으로 올랐습니다.
반면 서부산권은 20%대 상승에 그쳤습니다."
집값을 2~3배로, 원주민도 부자가 되자는 현수막이 사하구에 넘쳐나는 배경입니다.
재개발을 통한 주거가치 상승욕구가 폭발할만 합니다.
"하지만 현재 추진되고 있는 20여곳의 사업이 모두 성공하긴 불가능하다는 것이 전문가들 분석입니다.
사업이 좌절되는 곳이 나올 수 밖에 없는데,
'우리는 될꺼야'라는 막연한 기대감에 왜곡된 시장거래가 낳을 후유증은 막대할 수 밖에 없습니다."
{강정규/동의대 부동산대학원장/"(대다수가 정비사업의) 극초기 단계라는 차원에서 사업이 장기화되거나 사업 중단 등의 우려 등으로 재산상의 손해를 볼 가능성도 매우 크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최근 재개발 추진지역이 급증한 또 다른 원인은 부산시의 정책 변화입니다.
'시가 직접 정비예정구역을 지정하던 방식이 지난해부터 주민이 직접 주도해 신청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도입한 정책인데 정책 취지와는 달리 시장과열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시범지역이 바로 사하구였는데 예상치못할 정도로 신청이 쇄도한 겁니다.
뒤늦게 부산시는 제도 손질에 나섰습니다.
주민동의율 등 정비구역 지정 요건 강화를 곧 시행합니다.
{김태환/부산시 도시정비과장/"부작용이 나는 부분은 우리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행정조치를 한 번 해볼까 그렇게 진행 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과열된 시장은 이 정도 조치에 별 반응이 없습니다.
오히려 최근 발표된 재개발 기준용적률 10% 일괄 상향 조치가 주민들의 기대감만 더 키웠습니다.
엇갈린 정책 방향에 시민들의 희망고문만 커지지 않을지 우려됩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