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이,
학교 밖에서 담배 피우는 학생을 봤다면
이를 지도하는게 당연한 일일겁니다.
이 학생에겐
교내 봉사 처분이 내려졌는데
해당 교사는 학부모의 협박성
민원 전화를 받았습니다.
교권침해라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학부모는 학교 측이 먼저 자신을 신고해
문제를 키웠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최유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전북의 한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A씨는 지난 10일 학부모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학교 밖에서 전자담배를 피우다 걸린
학생에 대해 교내 봉사 10시간 처분을
고지한 직후였습니다.
[CG]
[학부모-A교사 통화 녹취(음성 변조):
이게 한 번 정도는 이게, 이것 교외에서도 적발하는지 몰랐으니까 넘어갈 수 있는 거 아닌가, 응? (그거는 아버님이 저희한테 그렇게...)]
징계 절차와 규정을 따지던 학부모는
이내 협박성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CG]
[학부모-A교사 통화녹취(음성 변조) :
그럼 내가 이번에 한번 내가 엎어 줄게요. 그럼 다 학교 한번 쑥대밭 만들어 줄게요.]
25분가량 이어진 민원 전화에
교사 A씨는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학생의 흡연 장면을 촬영해
학교에 알린 또 다른 교사는
초상권 침해 등의 이유로
아동학대 관련 조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도내 교원단체들은 명백한 교권 침해라며,
학부모들의 악성 민원에,
교육청이 나서 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강현아/전북교사노조 수석 부위원장 :
아동학대 신고를 하겠다라는 협박 등은 교사의 교육 활동을 위축시킬 수밖에 없는 사안이었습니다.]
해당 학부모는 A교사에게
감정적으로 대했던 것은 사실이라며,
사과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학교측이 먼저
자신을 교권침해로 신고했고,
자신의 아이가 학교에서도
차별을 받고 있는 것 같아
교육청에 민원을 넣은 것 뿐이라고
해명했습니다.
[해당 학부모(음성 변조) :
교육청에 민원을 넣으면 거기서는 전수조사 권한이 있다고 그래서 그러면 좀 팩트체크가 돼야, 어떤 문제 해결 방안이 되지 않을까?]
또 다시 촉발된 학내 악성 민원 논란,
서울 서이초 교사의 비극 이후,
민원 창구를 학교 관리자로 일원화하는
조치가 도입됐지만 현장에선 여전히
교사들이 민원에 시달리며
교단에 서고 있습니다.
JTV NEWS 최유선입니다.
최유선 기자
[email protected](JTV전주방송)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