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jtv

'가루쌀' 장려할 땐 언제고...농민 혼란

기사입력
2025-09-21 오후 9:30
최종수정
2025-09-21 오후 9:30
조회수
13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수입 밀가루를 대체하고,
쌀 생산량을 조절한다며
정부는 최근까지도 가루쌀 재배를
적극 장려해 왔습니다.

하지만, 가루쌀 소비가 신통치 않자
불과 3년 만에 정책 기조를 180도 바꿔
재배 면적 감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죽 끓듯 바뀌는 정부 방침에
농민들의 불신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정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지난 30년간 김제에서
벼를 재배해 온 조경희 씨.

올해는 논 2만 7천여 제곱미터에
가루쌀 벼를 심었습니다.

재배 기간이 석 달가량 짧은데다
정부도 전량 수매를 약속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 정부가 소비 부진을 이유로
가루쌀 벼 재배 면적 조정을 추진하자
제 값을 받지 못할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조경희/가루쌀 벼 재배 농민 :
최소한 10년은 갈 줄 알았습니다. 소득이 보장될 거라고 생각을 하고 뒤늦게 시작을 했는데 내년이면 또 끝날 것 같으니까 어이가 없고, 화도 나고...]

[CG] 지난 2023년 전북의 가루쌀 벼
재배 면적은 720ha.

하지만 정부의 가루쌀 장려 정책으로
불과 2년 새 3배가 넘는
2천300ha까지 늘었습니다. //

생산량은 크게 늘었지만
소비는 신통치 않습니다.

지난해 정부가 수매한 가루쌀은
2만 700톤에 이르자만
올해 가루쌀 소비량은
전체 물량의 25% 수준인
5천 톤에 머물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기에 올해 생산량 5만 톤을
수매해야 할 처지에 놓이자
불과 3년 만에 정책 기조를
180도 바꾼 겁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음성 변조) :
수요가 안정될 때까지는 현행 수준에서
조금 재배를 하다가 좀 수요가 늘면 그때
재배 면적을 다시 차근히 좀 늘려가는
방향으로 잡고 있고요.]

농민단체는 가루쌀 축소 방침을 철회하고
시장 확대와 가격 경쟁력 확보 등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정충식/전국농민회총연맹 전북 사무처장 : 가루쌀을 생산 안 함으로 해서 줄어드는
소득에 대해서는 대응 방안을 가지고
농민들과 적정한 협의 속에서 생산량을
조절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충분한 사전 조사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추진된 농업 정책이
농민들의 불안과 불신만 키우고 있습니다.

JTV NEWS 이정민입니다.

이정민 기자[email protected](JTV 전주방송)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