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이나 유명인 등을 사칭해
물품을 주문한 뒤 돈만 받아 가로채는
이른바 '노쇼' 사기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습니다.
010으로 시작되는
국내 번호가 찍혀 있어서
별다른 의심을 하지 않았다는게
피해자들 설명인데,
알고보니 해외 번호를 국내 번호로
바꿔주는 중계기가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민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6월 고창의 한 농약사에
방제 물품을 대신 사달라는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군청 공무원을 사칭한 이들은
자치단체 명의로 된 가짜 공문까지 보내며
의심을 피했습니다.
이런 수법으로 농약사가 보낸 구매대금
1억 7천만 원을 가로챘습니다.//
군산의 한 식당 주인도
영화 제작진을 사칭한 사람에게
고가의 와인을 대신 구매해달라는
전화를 받고 1,400만 원을 보냈다가
돈을 떼였습니다.
[피해 식당 주인 (지난 6월) :
강동원이 출연하는 촬영팀인데 마지막 촬영이라고 하면서 이제 감독하고 배우들이 밥을 먹겠다고 그 얘기를 하더라고요.]
올해들어 도내에서 발생한
이른바 '노쇼 사기'는 281건.
[CG] 전화를 건 곳은 해외였지만
피해자 휴대전화에는 국내 휴대폰 번호가 찍혔습니다.
해외 발신 번호를 국내 번호로 조작하는
중계기를 사용한 겁니다.//
노쇼 사기 사건의
전화번호를 추적하던 경찰이
중계기를 관리하던 20대 남성을
붙잡았습니다.
이 남성이 관리한 중계기 12대를 통해
전국적으로 30건,
모두 7억 8천만 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경찰은 추정하고 있습니다.
[유성민/전북경찰청 형사기동대 2팀장 :
취급하지 않는 물품을 대신 구매해 달라는 것은 노쇼 사기의 전형적인 수법인만큼 단호히 거절하셔야 합니다.]
또 명함이나 공문 등 서류만 믿지 말고
해당 기관에 직접 연락해
사실 여부를 확인하라고 당부했습니다.
[김민지 기자 : 경찰은 중계기 관리책인 20대 남성을 검찰로 송치하는 한편, 중계기 관리를 지시한 상선과 공범에 대해 추가 수사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JTV 뉴스 김민지입니다.]
김민지 기자
[email protected](JTV전주방송)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