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bc

[혁신]한국농어촌공사, 농어업 경쟁력 강화와 미래

기사입력
2021-07-30 오후 9:00
최종수정
2021-07-30 오후 9:00
조회수
122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 앵커멘트 】
빛가람혁신도시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살펴보는 순섭니다.

농업 용수와 저수지 등 전국 농어업 관련 시설관리와 운영을 맡아 풍요로운 농어촌 만들기에 앞장서고 있는 한국농어촌공사를 소개합니다.

임소영 기잡니다.

【 기자 】
(CG) 한국농어촌공사는 100여 년 전 전북의 옥구서부수리조합으로 출발해 농업관련 기관 100여 개가 통합한 농업기반공사를 거쳐 2008년 지금의 한국농어촌공사로 출범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지난 2014년 나주로 본사가 이전했습니다.

임직원 6천여 명 중 본사 상주 직원은 800명 정돕니다.

농촌 용수와 저수지 관리, 경지 정리, 영산강과 새만금 개발 등 농업생산기반 정비는 물론 농어촌 지역개발이 주요 업무입니다.

(CG)전국 저수지 3,400개와 양배수장, 방조제 등 관리하는 시설물만 1만4천 개가 넘고 전체 논 면적의 57%인 47만여 헥타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농어업 정책과 관련된 거의 모든 사업을 집행하는 농어촌공사의 올해 예산은 5조 3천8백억 원에 달합니다.

농어촌공사의 최대 현안은 기후변화 대응에 있습니다.

극심한 가뭄과 집중호우 등 기상 재해에 대비한 물자원 조절과 시설 관리에 첨단 IoT기술을 접목하는데 힘을 쏟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이상엽 / 한국농어촌공사 부사장
- "최근에는 기후 변화로 인해서 우리가 미리 예상하지 못했던 재난·재해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만큼 농업인들이 안심하고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6,500명 임직원 모두가 시설 관리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

정책 방향도 농가 경쟁력 향상을 위한 고부가가치 복합농업으로 초점을 맞춰가고 있습니다.

▶ 스탠딩 : 임소영
- ""새로운 100년을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와 함께 시작하고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농도의 중심 공공기관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kbc 임소영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