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가 미국 자회사 매출 부풀리기 혐의로 금융당국의 중징계 기로에 섰습니다.
SK에코플랜트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미국 자회사의 매출을 부풀려 밸류에이션을 높이려 했다는 것이 금융감독원의 판단입니다.
21일 금융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의 회계전문 자문기구인 감리위원회는 오는 24일 심의를 열어 금감원의 SK에코플랜트 감리 결과를 논의합니다.
지난주 1차 심의를 개최했지만, 결론이 나지 않았습니다.
앞서 금감원은 SK에코플랜트가 고의적으로 회계처리 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하고 검찰 고발, 전 대표이사 해임, 수십억원 규모의 과징금 등을 원안으로 올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회계 위반 동기는 '고의', '중과실', '과실'로 나뉘는데, '고의'가 확정될 경우 형사 고발과 임원 해임 등 강도 높은 제재 조치가 뒤따릅니다.
금감원은 SK에코플랜트가 지난 2022~2023년 회계처리 기준을 위반해 매출을 부풀린 정황에 대해 회계 감리를 벌여왔습니다.
미국 연료전지 자회사인 A사의 매출을 과대계상하는 방식으로 연결재무제표를 허위로 작성·공시했다는 게 의혹의 핵심입니다.
금감원은 SK에코플랜트가 미래에너지 사업 확장 등을 위한 IPO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기업가치를 높이려 한 유인이 있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SK에코플랜트 측은 "미국 자회사가 신규 사업에 대해 회계법인 검토를 받아 과거 회계처리를 한 건"이라며 "해당 회계 처리가 IPO와 관련이 없다는 점 등을 성실히 소명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감리위를 거쳐 증선위에서 이 같은 중징계안이 확정될 경우 검찰 수사뿐 아니라 SK그룹 차원에서 추진 중인 SK에코플랜트의 상장 일정이 지연 위기에 놓이는 등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SK에코플랜트는 2022년 1조원 규모의 프리IPO(상장 전 투자 유치)를 진행할 당시 투자자들에게 2026년까지 IPO를 하겠다는 조건을 내건 것으로도 알려졌습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상장 추진 일정에 큰 '암초'를 만난 셈입니다.
SK그룹이 2003년 SK글로벌 분식회계로 최태원 회장이 구속되는 등 뼈아픈 경험을 한 바 있어, 금감원 원안이 확정될 경우 그룹 차원의 신뢰 타격도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최근 금융당국이 방시혁 하이브 이사회 의장에 이어 메리츠화재 전 사장 등을 잇따라 검찰 고발하는 등 제재 수위가 높아지는 점도 SK 측에는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대기업 계열사 회계부정 사건이라는 상징성도 안게 될 수 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9일 주가 조작 등 불공정거래에 대한 제재 수준을 기존보다 강화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동시에 분식회계 행위 또한 강도 높게 제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윤수 증선위 상임위원은 당시 "자본시장의 물을 흐리는 '분식 회계'에 대한 제재 방안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며 "고의로 회계 분식을 저지른 경영진에는 '패가망신' 수준의 과징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최근 대법원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과 관련해 무죄를 확정받으면서 금융당국이 이번 사안을 조심스럽게 접근할 것이란 예상도 나옵니다.
증선위는 지난 해 말 카카오모빌리티의 매출 부풀리기 의혹과 관련해 위반 동기를 '고의'로 봤던 금감원과 달리 한단계 낮은 '중과실'로 결론 내기도 했습니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감원 원안은 고의 분식회계로 보고 있지만, 감리위와 증선위에서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 판결 등을 감안해 신중히 판단할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