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건강365> 불안정한 어깨, 반복 탈구 주의보!

기사입력
2025-05-27 오전 10:41
최종수정
2025-05-27 오전 10:45
조회수
9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한 번 빠진 어깨,이후에도 쉽게 탈구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반복적인 어깨 탈구는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데요. 건강365에서 그 원인과 해결책을 살펴봅니다.} 팔을 짚고 넘어진 순간, 어깨가 빠지는 듯한 느낌을 받은 적 있으신가요? 자주 쓰는 만큼, 쉽게 다칠 수 있는 관절이 바로 어깨인데요. 특히 한 번 탈구된 어깨는 반복될 가능성이 높아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동기 나르샤병원 원장 / 경희대학교 정형외과 어깨관절 임상교수 역임, 대한견주관절학회 정회원) {어깨 관절은 이렇게 상완골이라는 게 있고요. 상완골 머리 부분을 받치는 관절와라는 게 있는데요. 여기에서 너무 큰 범위로 움직이다가 어느 순간에 이 상완골의 머리 부분이 관절와에서 이탈하는 거를 어깨 탈구라고 합니다.} 어깨가 탈구되면 일상생활이 크게 불편해집니다. 팔을 들거나 옷을 입는 간단한 동작도 어려워지고, 통증보다 무력감이나 불안정함을 먼저 호소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어깨 관절에는 어깨를 둘러싸고 있는 관절와순이라는 조직이 있는데요. 이게 어깨 탈구가 일어날 때 이 관절와순 조직을 찢고 나가게 됩니다. 이 관절와순 조직에 혈관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한 번 상처를 받으면 치유가 잘 되지 않고요. 어깨 탈구가 다시 그 조직을 밀면서 또 일어나기 쉬운 구조가 됩니다.} 반복적으로 탈구되는 어깨는 단순한 외상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계속되는 손상은 어깨 관절 자체를 약하게 만들고, 결국 치료 방향도 달라질 수 있는데요. 이때는 관절을 안정화하는 치료가 필요하고, 수술적 접근이 고려되기도 합니다. { 관절와순이 한번 파열이 일어나게 되면 자연치유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수술적으로 그 파열된 관절와순을 봉합하는 게 우선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말로 얘기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데요. 이거는 관절와순을 관절내시경으로 보고 정상적인 조직으로 만드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어깨 탈구는 단순히 한 번 빠지는 문제로 끝나지 않습니다. 재발을 반복하면 관절 손상은 점점 심해지고, 일상생활에도 큰 지장을 줄 수 있는데요. 초기부터 정확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로 어깨의 기능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