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최근 국내 산업계의 관심은
온통 탄소중립과 수소,
재생에너지 같은 이슈에
쏠려 있습니다.
천연가스생산이 끝나는
울산 앞바다 동해가스전에
우리나라 일류기업과 첨단기술이 총집결해 미래 먹거리를 찾느라
부산합니다.
울산앞바다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김진구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레포트)
내년이면 천연가스 생산이
끝나는 동해가스전.
가스를 뽑아낸 바다밑 빈공간엔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저장합니다.
대기중으로 흩어지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해저에
연간 40만 톤씩 보관하는
탄소중립의 핵심 분얍니다.
(인터뷰)이호섭 한국석유공사
신성장사업추진단 팀장
동해가스전을 재활용한 이산화탄
소 지중 저장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우리나라
또한 본격적으로 참여한다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이 탄소 포집을,
한국조선해양이 저장을 맡는 등
7개 기업이 첨단 기술과 역량을
총동원합니다.
가스 생산 종료와 더불어
용도가 애매해진 해상플랫폼은
부유식 풍력단지에서 만들진
전기를 모아 육지로 보내는
변전소로 거듭 납니다.
특히 신재생 전기 가운데
일부는 바다 위에서 해수를
분해해 청정에너지 그린수소를
만드는데 투입됩니다.
(싱크)문재인 대통령
생산된 전력의 20%를 활용하면 8만4천 톤의 그린수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 그린수소가 더해지면 울산은 2030년 세계 최고의 수소도시로 도약하여 대한민
국 탄소중립을 이끌게 될 것입니다.
해상에서 만들어진 그린수소는
해상과 육상 배관망을 통해
전국에 공급되면서 수소사회를 앞당기는 핵심시설로 자리잡을 전망입니다
(클로징)
우리나라를 산유국의 반열에
올려놓았던 동해가스전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어가는
첨단산업의 거대한 실험실이
되고 있습니다.
유비씨 뉴스 김진굽니다.
-2021/05/31 김진구 작성
< copyright © u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