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bc

전남도 친환경 관리 대책 강화.."농민에 책임 전가"

기사입력
2021-04-16 오후 9:14
최종수정
2021-04-16 오후 9:14
조회수
77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 앵커멘트 】
친환경 농산물에서 해마다 수 백 건이나 농약이 검출되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전남도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현장 감시를 강화하고 적발되면 보조금을 환수하는 등 책임을 강력히 묻겠다는 것인데, 현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기동탐사부 고우리 기자입니다.

【 기자 】
전남도가 밝힌 친환경농업 관리 강화 대책은 이렇습니다.

농촌지도사를 도내 친환경농업 단지 1945곳에 배치하는 것입니다.

이들은 방제 때 사용하는 유기농자재의 적합성을 점검하고 기준에 맞게 방제하는지 감시하는 역할을 맡게 됩니다.

처벌은 강화됩니다.

인증이 취소되면 보조금을 회수하고, 1회 취소되면 3년간, 2회에는 5년간 보조사업 지원비를 받을 수 없습니다.

잔류농약 검사는 더 까다로워집니다.

320개였던 분석 성분 수는 511개로 늘리고, 검사 횟수도 늘어납니다.

▶ 인터뷰 : 미성간 / 전남도 친환경농업과 팀장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적발된 업체) 통보가 오면 시군에 그 명단을 보내서 이 업체와는 계약하지 않도록 저희들이 통보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일부 농가에서는 책임만 더 커졌다고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유기농자재 공동 구매도 필요한 데 이번 대책에서 빠졌다는 겁니다.

경남 창녕군과 함안군은 유기농자재 구매 입찰을 대행하고 있고, 남해군은 유통 업체 대신 농협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미인증 자재 사용을 막는 건 물론 지원금도 제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

▶ 싱크 : 경상남도 남해군 관계자
- "저희는 (농가에게 필요한 자재) 신청을 받아서 그 부분에 대해서 가까운 농협에 연계를 하고 구입은 농협이 저희가 받아둔 신청서를 바탕으로 (농가에게) 공급을 하도록"

소비자들이 믿고 구매할 수 있는 친환경 농산물을 농민들이 정직하게 키울 수 있도록 추가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c 기동탐사부 고우리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