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과 같은 인구 감소 추세가 이어지면, 100년 후 대한민국 인구가 현재의 15% 수준까지 급감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민간 싱크탱크인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2일 발간한 '2025 인구보고서'에 따르면, 2125년 우리나라 인구는 최저 753만 명까지 줄어들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는 현재 인구의 14.6% 수준으로, 서울시 인구보다도 적은 수치입니다.
보고서는 국제표준 인구 예측 방식인 '코호트 요인법'을 사용해 출산과 사망, 국제이동 등의 요소를 반영한 장기 추계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인구 감소 속도는 시간이 갈수록 빨라질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중위 시나리오 기준 2075년까지 인구가 약 30% 줄어든 뒤, 이후 50년 동안 절반 이상이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노령 인구 부담도 급격히 증가할 전망입니다.
2100년에는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노인 140명을 부양해야 하는 '역피라미드' 구조가 현실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는 100명이 30명을 부양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고서는 20~40대 직장인의 결혼·출산 인식을 분석한 결과, '사랑'보다 '돈'과 '집', 그리고 경제적 부담이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인구 위기 대응을 위해 출산·양육 지원 확대' 일·가정 양립 제도 정착, 정년 연장 및 계속 고용, 이민정책 개편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특히, 생산성 중심의 경제구조로의 전환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