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남 거제에서는 추운 밤 물을 먹고, 날이 풀리면 수액을 내는 고로쇠의 수액 채취가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이상 기후 여파로 채취량이 과거보다 크게 감소해 농가의 시름이 깊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경남 거제의 한 야산!
가파른 산비탈에 고로쇠나무 군락지가 형성돼 있습니다.
작목반원들이 나무에 작은 구멍을 뚫어 관을 꽂자 맑고 투명한 물방울이 떨어집니다.
뼈에 좋은물 즉 '골리수'라고 불리는 고로쇠 수액입니다.
영하의 추운 밤 물을 빨아들인 나무가 따뜻해진 낮에 달짝지근한 고로쇠 물을 뿜어내는 원리입니다.
하지만 고로쇠 농가들은 이상 기후 여파로 고로쇠 채취량이 과거보다 크게 줄었다고 입을 모읍니다.
20년전 한해 생산량은 40만리터에 육박했지만 점점 줄어 최근에는 12만리터로 1/3이상 급감했습니다.
{양홍재/고로쇠 작목반/"재작년까지는 고로쇠 물이 정상적으로 잘나왔습니다. 그런데 작년부터 이상한 현상이, 작년이 재작년과 비교해 1/3밖에 안나왔고 올해는 아예 안나옵니다."}
따뜻한 날씨가 일찍 찾아오면서 고로쇠 채취 시기도 과거보다 열흘가량 앞당겨지기도 했습니다.
지난 10년동안 수확량은 줄어드는데 인건비는 두배로 뛰면서 농가 소득은 크게 감소했습니다.
여기에 심각한 고령화로 고로쇠 채취 농가수도 70여곳에서 11곳으로 급감했습니다.
{김형균/거제 고로쇠협회장/"(고로쇠) 자동 살균 자동화 기계가 다른지역에는 있지만, 거제에는 준비가 안되어 있습니다. 보관 기관이 더 늘어나서 오랫동안 안심하고 판매할 수 있는 방법이 보장이 되면..."}
심각해지는 이상 기후와 농촌 고령화속에서 거제 고로쇠의 명맥이 끊기는건 아닌지 고로쇠 수확의 철에 오히려 농가들의 근심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