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재정에서 민자로 확대

기사입력
2025-01-19 오후 9:14
최종수정
2025-01-19 오후 9:20
조회수
3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도심에 자리잡은 오래된 하수처리시설들은 근처 주민들에게 많은 불편을 끼칩니다. 시설물들을 지하화하는 형태의 현대화 사업이 필요한데 재정 부담이 커서 민간투자 방식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반세기 동안 부산시 전역의 분뇨 처리를 맡아 온 부산 위생사업소, 악취로 인해 주변 주민들은 큰 불편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4년간 공사 끝에 시설이 완전 지하화되면서 새해부턴 사정이 달라졌습니다. 악취가 사라진 건 물론 5만 제곱미터 가량의 잔여 부지까지 생겨 지역발전에 활용될 전망입니다. 1천억 원의 국*시비가 들어갔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사람들이 가장 꺼려하는 시설도 우리가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관점을 갖고 혁신을 하면 얼마든지 시민들이 원하는 시설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이 사업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수영하수처리시설, 동부산권 85만 주민의 하수를 처리할만큼 규모도 가장 큽니다. "1988년 첫 가동 때만해도 이 곳은 주거지와 꽤 떨어져있었습니다. 하지만 2000년 이후 주변으로 아파트들이 잇따라 들어선 결과 지금은 반경 500미터에만 만5천 세대가 밀집하면서 도심 한 가운데 자리한 처지가 됐습니다." 갈수록 악취 민원이 커지는데다 시설 노후도 심각한 상태, 부산시는 민간투자사업 방식으로 지하화를 포함한 현대화 사업을 추진합니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의 민자 적격성 조사도 통과하면서 속도도 붙었습니다. 6천억 원 가량의 사업비 부담은 재정보단 민자가 더 효율적이라는 겁니다. 연간 절감되는 시설운영비만 27억 원으로 예상되는 만큼 하수도 요금 인상엔 영향이 없다는 설명입니다. {이병석/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민자로) 재정 지출을 최소화하되 이 민자 사업으로 인해서 하수도 요금은 인상하지 않도록 저희들은 그렇게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필수 공공인프라의 민자화에 대한 부작용 우려는 풀어야할 숙제입니다. 현재 시설운영을 맡고 있는 부산환경공단 노조도 민간의 책임운영은 기대하기 힘들다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