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의료인력·방역물품, 병원이 알아서?

기사입력
2021-01-13 오후 8:42
최종수정
2021-01-13 오후 8:42
조회수
119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집단감염이 발생한 요양병원들이 의료인들의 자가격리와 퇴사 등으로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습니다.

방역물품도 모자라 매달 수천만원의 병원 자체 비용이 들어간다고 하는데,

실태를 김민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확진자가 60명 넘게 발생해 코호트격리에 들어간 부산의 한 요양병원입니다.

집단감염으로 직원 20명이 자가격리 됐고, 간호사와 간병인 등 21명이 일을 그만뒀습니다.

환자를 돌볼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병원측은 방역당국에 의료인력 충원을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알아서 구하라는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00 요양병원 간호사/"병원에서 구하고 국가에서 돈이 나온다고 하는데 사실 코로나가 있다고 하면
대부분 꺼리잖아요? 그렇다보니 인력 충당이 전혀 안되고 있습니다."}

확진자가 20명 나온 또다른 요양병원도 사정은 마찬가지!

의료*간병인력이 부족해 16명을 시에 신청했지만 한명도 충원 받지 못했습니다.

병원 자체적으로 수소문 끝에 간병인 1명 구한 것이 전부입니다.

"이 요양병원은 지난해 10월 집단감염이 발생했을때에는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 인력 8명을
지원받았지만 이번에는 단 한명도 지원받지 못했습니다."

방역물품을 구입하는 비용도 큰 부담입니다.

의료용 비닐가운, 손소독제 등은 사용량이 많아 한달에 2천만원이 넘게 듭니다.

{요양병원 관계자/"자주 입는 데 같은 경우에는 AP(의료용 비닐) 가운을 하루에 1명이
여러 번 갈아 입고 하다보면 일주일에 5천개 6천개 사용이 되거든요."}

병원측은 행정당국이 감염예방을 위해 코호트 격리 명령을 내린 만큼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이에 대해 부산시도 정부에 인력요청을 했지만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고 해명했습니다.

또 물품 지원은 하고 있지만 물품 조달 책임은 병원측에 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안병선/부산시 복지건강국장/"코호트 격리와 관련해 필요한 물품은 시가 지원을 필요한 만큼
하고 있습니다만 원칙적으로 감염관리의 책임은 의료기관의 장에게 있습니다."}

코로나 19 최전선인 의료 현장이 인력과 물품 부족으로 힘겨운 사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