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울주군이 고령화된
농촌의 혁신을 위해
스마트팜 육성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만큼, 초기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과, 컨테이너 스마트팜에 대한
규제는 풀어야 할 과젭니다.
윤주웅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남 산청의 스마트 식물공장.
순환식 양액 재배, 항온항습
유지시설 등을 갖추고,
모든 걸 컴퓨터로 자동제어해, 인력은 1/5만 있으면 됩니다.
문제는 시설비가 많이 들어
고부가가치 식물을 재배하거나,
대량 생산을 해야 한다는 건데,
초기 비용을 줄이기 위해
비닐하우스 형태로 하면,
파손 위험이 있습니다.
(씽크) 울주군 관계자 '비닐하우스는 견고한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돈을 들여서 설치를 해놨는데, 태풍이 와서 무너져 버리면 안 되니까 비닐하우스 형태는 (농민들이 꺼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울주군과 테크노파크는 견고한
컨테이너 안에서 농사를 짓는
스마트 팜을 개발했습니다.
하지만 컨테이너 스마트팜은
재배 품목에 제한이 있습니다.
버섯이나 곤충을 키우는
컨테이너팜은 농지에도 설치할 수 있지만, 상추 같은 엽채류를 키우는 컨테이너팜은 농지에
설치할 수 없는 겁니다.
(인터뷰) 이상윤/울산테크노파크 스마트융합지원실 '(농지에 컨테이너팜은) 버섯 밖에 안 되요, 엽채류 형태도 농가가 있는데, 그런 것들은 농지에서 할 수가 없어요. 그런 것들이 법적인 규제 개혁 대상인거죠.'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과
기후변화의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는 스마트팜.
(클로징 : 스마트팜이 확산하기 위해서는 경제성 확보와 함께,
행정적 걸림돌을 치우는 노력도
절실한 상황입니다.
유비씨뉴스 윤주웅입니다.)
-2021/04/19 윤주웅 작성
< copyright © u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