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이미지 1
【 앵커멘트 】
학생들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주고
지역 친환경 농가를 장려하기 위해
지자체마다 급식지원센터를 운영 중인데요.
최근 예산군에서
일반 농산물이 친환경으로 둔갑해
공급된다는 이른바 '박스갈이'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그런데 급식지원센터는
관내 유통업체가 한 곳밖에 없다는 이유로
이런 의혹을 알고도 손을 놓고 있습니다.
최은호 기자가 집중취재했습니다.
【 기자 】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64개 학교에 식자재를 공급하는 예산군 급식지원센터입니다.
친환경 농산물의 경우 모든 식자재가
A유통업체를 거쳐 급식센터로 배달되는데
일반 농산물이 친환경으로 둔갑해 공급된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학교 영양사들이 예산급식센터에
보고한 자료를 보면 시금치나 홍고추 등
몇몇 농산물이 친환경 인증서 없이 배달됐다고 나옵니다.
또 친환경 쪽파를 주문했는데
일반 쪽파가 배달되는가 하면
원산지가 다른 감자가 3개월 연속
배달되기도 했습니다.
의혹을 제기한 생산자 측은
특정 품목의 경우 학교에서 주문한 양과
지역에서 생산돼 납품한 친환경 농산물 양이
맞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 인터뷰 : 황선덕 / 친환경농산물 생산자
- "생산자가 실제로 학교에 가져다준 양을 비교해봤는데 30% 이상이 없어요. 학교에서 10을 주문했는데 납품한 거는 7밖에 안 되는 거죠. 나머지 3은 어디서 났냐는 거죠."
친환경 논란에 더해, 이 유통업체는
물건만 받아가고 생산자에겐 1년 가까이 대금을 정산해주지 않았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 인터뷰 : 한상화 / 친환경농산물 생산자
- "몇 킬로그램인지 확인해서 나한테 통보를 주겠다고 그러더니 깜깜무소식이에요. 급식 양 자체가 줄어서 납품하는 게 없다고 얘기를 하니까 나도 기다릴 수밖에 없는 거잖아요."
취재가 시작되자 이 업체는
뒤늦게, 일부 밀린 대금을 지급했습니다.
A업체는 그러나 실수는 있을지언정
일반 농산물을 친환경으로 바꾸지는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 인터뷰(☎) : A 유통업체 대표
- "아무래도 저장고에 있으니까 인증서가 잘 안 붙어요. 한 학교에 10가지가 들어간다 하면 다른 것에 붙어 나가거나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요."
친환경 농산물 생산자들은
유통업체에 대한 예산군 급식지원센터의
관리감독이 제대로 되지 않아
이런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고 토로합니다.
급식지원센터 측은 관내에
친환경 농산물 취급 인증을 받은 곳이
A 업체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지만
친환경 인증서가 누락한 데 대해서는
별도로 조사하지 않은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 인터뷰 : 예산 학교급식지원센터 관계자
- "이 업체 안되니까 이 업체, 그럴 수 있는 상황이 안 되다 보니 죽이 되든 밥이 되든 여기 밖에 없었어요. 그러다 보니 질질 끌려오듯 이렇게 온 건데 사실 센터 운영이 어려워요."
예산군의 무책임한 관리 속에
친환경 농산물로 학생과 농가 모두에 도움을
주겠다는 학교급식센터 설립 취지는
무색해졌습니다.
TJB 최은호입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