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재난방재용 안전모의
'안전성 기준'이 없다는 소식,
어제 전해드렸습니다.
울산지역 모든 유치원에서
지난해 이런 안전모를
구입했는데요.
교육청의 소극적인
행정 때문에 자격 미달로
입찰에서 탈락했던 제품을
구매하는 일까지 벌어졌는데
어찌된 일인지 김규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울산시교육청은 2019년 5월
유치원생 재난대응 안전모
지원 사업을 위해 입찰을
실시했습니다.
(1/4-CG1) 여러 업체 가운데
품질 평가를 통과한 2개
업체만 2차 입찰에 올랐고,
최저 입찰제에 따라 개당
만 원가량을 제시한 A업체가
낙찰됐습니다. (OUT)
그런데 울산시교육청은
5달이 지난 뒤, 업체와의
계약을 갑자기 해제했습니다.
계약 넉 달 뒤인 2019년 9월,
대구 달서구청이 해당 업체
제품이 어린이제품법을
위반했다며 제품 수거 명령을
내리자 취소한 겁니다.
(싱크) 울산시교육청 관계자
'제품 자체는 이상이 없었는데 (KC 인증 관련) 서류가 누락됐으니까 이 제품은 잘못됐다 해서 우리도 그 결정에 따라서 계약을 해제했죠.'
수습 과정도 허술했습니다.
대량구매를 통해 일괄
지급하려던 계획이 무산되자
유치원이 알아서 구매하라며
4억 원이 넘는 예산만
유치원에 내려줬습니다.
(싱크) 울산시교육청 관계자
'국가에서 공인한 안전모라는 게 없다 보니까 유치원에서도 취향에 맞는 걸 사고 싶어 했었고요. 그걸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유치원에 예산을 교부하게 된 거죠.'
(스탠덥) 때문에 재난방재용
안전모로서의 안전성도
장담하지 못하면서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CG2) 성능 기준도 없이
개별 구매를 지시했다 민원이
제기되자 20일이 지나서야
방염, 방수 기능이 있는
제품을 구매하라며 다시
공문을 보냈습니다.
(CG3) 제품 정보를 알려주지
않다 보니, 유치원 37곳은
입찰가의 두 배에 제품을
구입했고, 43곳은 시교육청
입찰 당시 품질 등을 평가하는
선정위원회에서 부적격으로
탈락했던 제품을 사는 일도
벌어졌습니다.(OUT)
(싱크) A 유치원 관계자
'성능 테스트한 서류 보여주면 그런가 보다 하지 우리가 테스트할 수는 없으니까..'
(싱크) B 유치원 관계자
'이미 제품을 산 유치원들이
있었거든요. 미리. 그래서 돈을 받았지만 쓸 수가 없어서 재난가방, 안전모 장 짜는 거 이런 쪽으로 썼다는 유치원도 더러 있었습니다.'
이같은 우려는 2019년
울산시의회 행정감사에서도
제기됐습니다.
(CG4) 개별구매를 우려하는
지적이 나왔고, 이에 대해
시교육청은 안전성 우수업체를
소개하고 단가도 같은 수준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지만 말뿐이었습니다. (OUT)
(인터뷰) 안도영/울산시의원
'실제로 방수가 안 되는 제품이 구매된 적이 있었고, 심지어 동일한 제품인데 사립유치원과 공립유치원의 구매 가격이 30% 정도 차이 나는 일도 발생했습니다.'
울산지역 유치원 186곳이
4억 원이 넘는 예산으로
구매한 재난방재용 안전모는
모두 만7천500여 개.
유치원 재난방재용 안전모
보급 사업은 노옥희 교육감의
공약사업입니다.
유비씨 뉴스 김규탭니다.
-2021/03/11 김규태 작성
< copyright © u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