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한국기계연구원 직원 2명이
2백여 차례에 걸쳐 67억여 원을
횡령한 사실이 드러나 검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외부 업체와 결탁해
하지도 않은 일을 한 것처럼 꾸며
부당한 금액을 타냈는데,
이들의 유착 관계는 6년 넘게
지속됐습니다.
이들이 수십억원을 빼돌릴 동안
감시 시스템은 있으나 마나였습니다.
김철진 기자입니다.
【 기자 】
검찰이 6년에 걸쳐
모두 67억여 원을 횡령한 혐의로
한국기계연구원 직원 2명에 대해
수사에 나섰습니다.
(CG1)
이들은 연구원들이 개발한 기술을
외부 업체를 통해 특허 출원을 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행정비용과
수수료를 지급하는 부서의
실무자와 책임자였습니다.
(CG2)
두 직원은
서울 한 특허사무소와 결탁해
이미 수수료가 지급된 특허를
새로 일한 것처럼 꾸며
연구소로부터 수수료를 다시 타냈습니다.
또 다른 곳에서 처리한 일을
마치 해당 사무소가 일한 것처럼
서류를 꾸며 연구소로부터
부당 대금을 챙기고
나눠 가진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사실상 하지 않은 일을
한 것처럼 조작해
부당한 금액을 타낸 겁니다.
연구원은 내부 제보를 통해서야
이들의 횡령 사실을 인지했는데,
감사시스템은 무용 지물이었습니다.
▶ 인터뷰(☎) : 한국기계연구원 관계자
- "지급되는 총액의 금액이 조금 낮아서 감사 쪽으로 가지 못하고, 바로 돈이 지급되는…."
두 직원 모두
전문성을 이유로 7년 넘게
같은 업무를 하며 유착 관계는
깊어졌고, 중간 결재자의 ID를
도용해 다른 직원의 감시도
피했습니다.
뒤늦게 이들을
감독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실태 조사에 나섰지만,
해당 기관의 문제만이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 인터뷰 : 양정숙 / 무소속 국회의원 (과기정통위)
- "다른 기관들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요. 전 부처, 특히 R&D 기관에 대해서 철저한 사실 파악과 강력한 재발 방지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6년간의 결탁은 결국 적발됐지만,
부실했던 연구기관의 관리 감독
모습도 함께 드러난 가운데
연구원 내부의 공공연한 비밀은 아니었는지,
검찰 수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TJB 김철진입니다.
[영상취재 : 윤상훈 기자]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