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부터는 자치경찰제가 본격 시행됩니다. 경찰의 내부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바꿔 지역 밀착형 치안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인데, 충북에서도 운영을 앞두고 준비가 한창입니다. 박언 기자입니다. 오는 7월부터는 지역 내 교통사고와 여성·청소년 관련 범죄, 아동학대 등 일상생활과 관련이 있는 일은 자치경찰이 담당합니다. /기존 하나의 조직이었던 경찰이 국가경찰과 수사, 자치경찰사무 등 세 분야로 분리해 지역 상황에 맞는 치안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겁니다.// 예를 들면, 청주에 신호등이나 과속 단속 카메라 한 대를 설치하기 위해선 상부 기관 심의를 거쳐 최소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됐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시·도지사 지휘·감독을 받는 지역 내 자치경찰이 정책과 예산을 직접 집행해 기간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다는 겁니다. 또 아동학대 사건 등은 초동조치는 경찰이, 사후 관리는 자치단체가 맡다 보니 유기적인 협조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출동부터 마지막까지 자치경찰사무 내에서 일괄 책임져, 경찰과 지자체, 기관 대 기관이 아닌 내부 부서 간 협업이 가능하다는 게 장점입니다. 이종원 / 충북경찰청 자치경찰부장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우리 지역에 적합한 치안을 하는 데에서는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었기 때문에, 이번 자치경찰제도가 도입됨으로 인해 이런 부분에 보다 중점을 두고..' 충청북도와 충북경찰청은 우선 5월 초부터 시범 운영을 하기 위해 자치경찰위원회와 조례 제정 등 막바지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강전권 / 충청북도 자치행정과장 '운영을 위해서 사무 기구를 설치하거나 사무 공간을 준비 중입니다. 본격 시행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준비하고 있습니다.' 박언 하지만 인원과 예산 등이 모두 충족되지 않은 상황에서 자치경찰제가 급하게 시행된다는 시각도 있어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CJB뉴스 박언입니다. * 지역밀착형 치안 '자치경찰제' 준비 상황은? * #자치경찰제 #경찰 #충청북도 #충북경찰청 #아동학대
< copyright © c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