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7대 도시 가운데 울산에만
없는 공공의료원 설립 문제가
다음달 선거를 앞두고
지역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는데요.
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예타 조사 면제 지원을 약속한데
이어 울산대 옥민수 교수 등
의료인들도 공공의료원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김익현 기잡니다.
(리포트)
지난해 말 남구
양지요양병원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하며 울산의 공공의료는 한계에
다다랐습니다.
12월 한달간 수백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자
시민들은 병상 부족 사태를
우려하며 크나큰 위기감을
느껴야 했습니다.
--
공공의료원 설립을
주도하고 있는 울산대
옥민수 교수는 건강은
울산시민들이 누려야 할 당연한
권리임을 강조했습니다.
(인서트) 옥민수/울산대 예방의학과 교수
'모든 시민들이 누려야 할 당연한 가치 그런거죠 건강이라는 건 당연히 그런 것 아닐까요?'
지역 책임의료기관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 공공의료원은
최소 300병상, 전문의 40명 이상의 규모가 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전국의 지방의료원 35곳 중
30곳이 적자라는 주장에 대해선,
가치관의 문제이자
시민을 위한 선택의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인서트) 옥민수/울산대 예방의학과 교수
'(시내버스에는) 한해 수백억의 적자보조금이 들어갑니다. 의료원 적자분은 많아봤자 10억 내외'
지난 2일 울산을 찾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부산과 대전처럼
울산도 공공의료원 설립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인서트) 이낙연 민주당 대표
'울산에 공공의료원을 반드시 유치하겠고 그것을 위해서 예타 면제도 추진하겠다는 약속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렇게 되면
2천억원가량으로 예상되는
울산공공의료원
건립비용의 절반을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어
2023년 착공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울산시의 계획에
한결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ubc뉴스 김익현입니다.@@
-2021/03/04 김익현 작성
< copyright © u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