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벼운 근육통 정도...이상반응 미미"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어떤 건지, 또 나는 맞아도 되는지, 부작용은 없는 건지 관심이 높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효능과 접종 방법 등을 진기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다른 바이러스에 넣어 투여하는 '바이러스벡터' 백신입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같은 일부 단백질을 침팬지 아데노바이러스라는 살아있는 바이러스 안에 장착시킨 후 이를 주입하는 겁니다. 항체 면역뿐 아니라 세포 면역까지 활성화시켜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졌습니다.// 영국과 브라질 등에서 시행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임상시험결과, 예방효과는 62%로 나타났습니다. 접종 방식은 0.5㎖ 용량을 근육주사로 2번 투여하며, 1차 접종 후 4∼12주 이내에 2차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약화시키긴 했지만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몸속에 넣는 방식이어서 척수염증 같은 합병증 위험성이 있지만, 발생 가능성은 극히 낮습니다. 이상 반응으로는 접종 부위의 압통과 두통, 근육통 등이 흔하게 나타나며, 다른 백신보다 발열 증상이 더 많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현재 65세 이상 고령자와 임신부, 18세 미만은 접종 제외대상인데, 과거 예방 접종에서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한 번이라도 경험했다면 접종을 피해야 합니다. 박홍서 / 가정의학과 전문의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있었다던가 열성 경련 같은 부작용이 있었던 경우는 금기가 되고, 그 외에는 특별하게 절대적인 금기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백신을 맞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밖에 고혈압, 당뇨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는 우선접종 권장대상에 포함되고, 면역저하자와 HIV 감염자도 예방접종 금기사항이 없다면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CJB뉴스 진기훈입니다. * '가벼운 근육통 정도...이상반응 미미' * #CJB #청주방송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백신
< copyright © c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