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365]-심한 생리통, 잦은 소변 ‘자궁선근증’
[앵커]
심해진 생리통, 자궁근종을 의심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자궁선근증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자궁 자체가 커졌다고 진단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어떤 병인지 건강365에서 알아봅니다.
[리포트]
증상이 비슷한 자궁 질환!
우리가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갑자기 생리양이 늘면서 생리통이 심해졌다면 무조건 자궁근종일까요?
[출연자]
(김혜경 센텀코어의원 산부인과 원장 / 대한산부인과학회*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 정회원 )
{자궁내막 세포가 자궁근육층으로 침범해서 근육층에서 증식하고 문제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침윤 조직이 증식해서 오래된 조직과 혈액이 자궁근육층에서 빠져나오지 못해서 여러 가지 증상이 생깁니다. }
[리포트]
정확한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유전이나 여성호르몬의 영향.
스트레스 같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걸로 보입니다.
진단은 질 초음파나 MRI 검사로 내릴 수 있습니다.
[출연자]
{일단 생리와 관련된 증상이 생기고 월경과다, 생리통, 압박에 대한 증상이 생깁니다. 소변이 자주 마렵고 허리가 아프고 만성적으로 골반이 아프고 성관계를 할 때 불편할 수 있습니다. 50% 정도는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는데 문제는 자궁이 굉장히 커질 수도 있기 때문에 초기에 관리를 하지 않으시면 수술로 진행될 확률이 높습니다. }
[리포트]
자궁선근증은 경계가 모호하고 이곳저곳에 퍼져있어서 치료가 까다롭습니다.
호르몬 약물치료를 하거나 자궁을 아예 드러내기도 하는데요.
환자의 부담감이 큰 이 치료법 말고는 다른 해결책이 없을까요?
[출연자]
(김혜경 / 센텀코어의원 산부인과 원장 )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치료, 자궁동맥색전술, 고주파치료 이렇게 세 가지 시술이 있습니다. 그리고 시술과 약물치료를 같이 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효과가 더 좋기 때문입니다. 조기에 발견하셔서 자궁 적출을 하기 전에 이런 시술과 약물치료를 상담받으시고 시행하신다면 자궁 적출까지 가는 경우를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
[리포트]
자궁선근증 환자 세 명 중 한 명은 별다른 증상이 없습니다.
내 몸이 건강하다고 느끼더라도 1년에 한 번은 산부인과 검진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