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전남 신안 앞바다에
세계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단지 조성이 추진되면서 '서해는 신안, 동해는 울산'으로 양대 거점이 만들어질 전망인데요.
정부 주도의 신안과 달리
울산은 글로벌 에너지 회사가
주축이다 보니 주도권 싸움에서 밀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조윤호 기잡니다.
(리포트)
한국전력과 한화건설,
두산중공업 등이 참여해
48조를 투자하는
전남 신안 앞바다 해상
풍력 사업,
단일 단지로서는
세계 최대 규모인 8.2GW로
한국형 신형 원전
6기 발전량에 해당합니다.
정부의 그린뉴딜이자
전남형 상생 일자리의
대표 사업으로 450여 개
기업을 유치, 12만 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싱크)문재인 대통령
'전국 최고 수준의 일사량과 해상 풍력 등 재생 에너지의 성장 잠재력도 매우 큽니다.'
(브릿지: 울산 앞바다
부유식 해상풍력은
전남 신안 풍력과 비교해
사업 규모와 풍력 방식과
위치 그리고 사업 주체
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cg-in)
울산 해상풍력단지의 규모는 2030년까지 6와트로 신안보다
다소 적고, 연안 고정식이 아닌
근해 부유식입니다.
근해다 보니
공유수면 점용허가 등
인허가 절차를 해양수산부가
주관하고 근해 보상은 물론
연안 해저케이블 개설 등
피해 범위에 놓인 어민의
수도 더 많습니다.
특히 GIG와 토탈 등
글로벌 해상풍력 기업이
주도하면서 사업의 속도도
우려됩니다. (-OUT)
신안은 정부와 지자체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어민과의 사전공감대가
형성돼있지만,
울산부유식 해상풍력은
어민 보상부터 마찰이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싱크) 울산 부유식해상풍력 참여사 관계자
-'1차 협력금은 라이다(계측기)가 떠 있는 거기에서 실제로 조업하는 사람들(근해 어민) 중심으로 (지급)..(연안 어민 보상은) 더 힘들어요. 사실..이분들이 동의를 안 하면 연결을 못 하니까. 계통을..'
이 때문에 에너지 개발구역
지정과 정부 주도의 입지
발굴을 통한 원스톱 인허가와
어민보상안을 담은
특별법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상락/울산연구원 책임연구원
-'특별법을 마련해서 주민들이 발전단지를 조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민자 투자사들이 조기에 우리가 목표로 하는 발전단지를 (조성)..'
울산은 또, 풍력 기술 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외국기업의 이윤을 위한
프로젝트란 논란을 불식시켜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습니다.
유비씨 뉴스 조윤홉니다.@@
-2021/02/09 조윤호 작성
< copyright © u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