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코로나19로 술자리가
줄어들면서 음주 문화도
달라졌습니다.
혼자서 술을 마시는
'혼술족'과 집에서 마시는
'홈술족'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신혜지 기잡니다.
(리포트)
막걸리로 채워진
페트병이 레일을 따라
탁송 트럭에 실립니다.
코로나19로 폐업하는 식당이
많아져 이 공장의 거래처도
1년 전보다 10% 정도 줄었지만,
다행히 전체 판매 물량에
큰 변동은 없습니다.
(인터뷰) 김홍화/막걸리 업체 총괄본부장 '식당, 주점에선 10% 정도 감소했고 대신 일반 슈퍼나 대형마트, 소형 편의점에서 많이 상쇄됐습니다.'
주류가 납품되는 대형 마트에선
오히려 매출이 늘었습니다.
(스탠드업:특히 저녁 9시 이후
식당 영업이 중단되면서 장을
보러 왔다가 주류를 함께
구매하는 고객들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 김도경/북구 매곡동 '(식당에선) 인원도 체크하고 개인정보 (기록)하는 것도 있으니까 어른분들이랑 같이 먹기에는 조금 위험하기도 해서 주로 거의 집에서 (마시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음주 문화가
확 달라진 겁니다.
(1/4CG) 술을 마시는 장소가
식당이나 주점에서 자신의
집으로 바뀌었고, 술 상대는
친구, 직장동료에서 나 혼자나
가족으로 바뀌었습니다.(OUT)
하지만, '혼술'이나 '홈술'은 알코올 의존도를 높이고
우울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준엽/울산남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장 '혼자서 아무래도 술을 마시게 되면 술을 제어하는 능력에 있어서 문제가 되니까 오히려 더 과음을 할 가능성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이른바 집콕과 코로나 블루가
더해져 코로나 이후 모든
연령대에서 과음 등 건강에
해가 되는 수준의 음주를
경험한 비율도 증가했습니다.
유비씨뉴스 신혜집니다.@@
-2021/02/08 신혜지 작성
< copyright © u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