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양자기술 등 첨단 기술이 급속 발전하는 가운데, 과학기술혁신체제의 대전환을 모색하는 정책토론회가 국회에서 열렸습니다.
사단법인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회는 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변혁의 AI 시대,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의 전환과 과제'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이재명 정부 출범에 발맞춰, 과학기술계가 바라는 혁신적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국가 경쟁력 확보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송철화 연구회 회장은 개회사에서 "AI, 양자기술 등 첨단 기술의 급속 발전과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 과학기술 혁신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다"며,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의 근본적인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주제 발표는 윤석진 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이 맡아 선도형 과학기술 혁신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고위험·고수익 R&D 투자, 민간 주도 혁신, 대·중소기업 협력,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 글로벌 협력 확대 등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습니다.
지정 토론에서는 곽재원 가천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과학기술 현장 전문가들과 함께 현실적인 정책 과제를 심도 있게 논의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회)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