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은 그동안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같은 호남권인 전북의 입장은
아랑곳하지 않는 일이 많았습니다.
오죽했으면 이재명 대통령조차
후보 시절 이른바 3중 소외론을 거론하며
전북이 호남 안에서도 차별을 받는다고
공감했을 정도입니다.
전북이 특별자치도로 출범한 건
이같은 광주.전남 중심의 호남 질서에서
벗어나겠다는 취지였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전라남도가 특별자치도까지 추진하고 나서
전북자치도가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
정원익 기자입니다.
전남 지역 국회의원들은
지난해 6월 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한
특별법을 발의했습니다.
법안은 국회 법안소위까지 회부됐지만
탄핵 정국과 조기 대선으로 논의가
중단됐습니다.
하지만 새 정부가 들어서자
전남은 도민설명회를 여는 등 특별자치도 설치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김영록/전남도지사(지난해) :
현실적으로는 우리 전라남도가 일선 시군이
나서지 않으면 일을 할 수 없는데 권한을
중앙에서 갖고 있다.]
광주전남은 그동안 주요 현안마다
전북의 발목을 잡아왔습니다.
3년 전 익산시가
국립 호남권 청소년 디딤센터를 유치하자 공모에서 탈락한 광주광역시는
같은 기능의 국립 청소년 치료재활센터를
추진해 반발을 샀습니다.
[광주광역시 관계자 :
지역 내에서 이 시설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계속 있어서 익산은 익산대로
가고, 추가로 저희들이 건립 요청을 한
거예요.]
전남의 한국학 호남진흥원을
전북의 전라유학진흥원으로 통합하기로 한
계획도 광주전남 정치권의 반발로 무산됐고인권사무소 유치도 갈등을 빚었습니다.
전라북도가 이름에서 나주를 떼고
전북특별자치도로 새출발을 한 것은
사사건건 호남몫을 독식하려는 광주전남과 결별하고, 독자적인 길을 가겠다는
의미가 큽니다.
현안마다 제 잇속만을 챙겨온 광주전남이,
이번에는 특별자치도까지 따라하고 나서자
전북자치도도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현서/전북자치도 정책기획관 :
중복된 분야가 생겨서 특별자치도의 권한이 여러 군데로 이제 분산되게 된다면 그런
부분들은 또 특별자치도로 만든 어떤
취지하고 조금 이렇게 반하지 않을까.]
이웃에 대한 존중과 상생보다는
스스로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광주전남 탓에 전북이 애써 지정한 특별자치도의 의미마저
퇴색하는 건 아닌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JTV뉴스 정원익입니다.
정원익 기자
[email protected](JTV 전주방송)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