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nn

치솟는 난방비에 생산과 소비 하락 '삼중고'

기사입력
2025-02-04 오후 8:54
최종수정
2025-02-04 오후 8:57
조회수
3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입춘이 지났지만 한파가 오히려 더 매서워졌습니다. 농가들은 전기요금과 기름값 인상으로 인해 난방비 부담이 큰 상황인데요. 난방비 부담에, 작물 생산량과 소비량까지 줄면서 삼중고를 겪는 농가도 많다고 합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전기로 난방을 하는 경남 의령의 파프리카 농가입니다. 지난해 이맘때와 전력사용량은 비슷한데 요금은 2백만원이 더 나왔습니다. 농사용 전기요금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2021년 농사용 전기요금과 비교하면 무려 70%나 올랐습니다. 올겨울 이 농가에서 매달 나가는 전기요금만 수천만원에 이릅니다. {오주환/의령 파프리카 농가/"올해 고지서를 보고는 좀... 이 농사를 계속 해야되나 이런 생각이 들 정도로 많이 올랐습니다."} 하지만 당장 생육에 영향이 있을까, 난방을 줄이기도 어렵습니다. 겨울철 시설하우스 운영비의 대부분이 전기요금으로 빠져나가는 만큼, 농가 부담이 큰 상황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겨울 작물 재배를 포기하는 농가도 늘고 있습니다. 화훼농가는 난방비 부담에 이어 꽃 생산량과 소비량마저 줄면서 삼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기름값 인상으로 난방비는 올랐는데 지난해 폭염으로 인해 생산량은 줄었습니다. 탄핵 정국 등으로 졸업 특수도 사라졌습니다. 생산단가는 올랐는데 꽃값은 제대로 받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정윤제/김해 대동화훼작목회장/"경매 보면 꽃값은 형편없는데 유찰되고 이러는데 소비자들이 접했을때는 꽃값이 너무 비싸다는거에요. 중간 상인들이 너무 폭리를 취하는거에요."} 이번 강추위는 오는 6일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보돼, 입춘대길을 기다려온 농가들은 입춘한파에 시름만 더 커지고 있습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