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nn

무너지는 자영업 불경기 아니어도 위기

기사입력
2025-02-03 오후 8:47
최종수정
2025-02-03 오후 8:49
조회수
7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경남자영업자 1명당 소득은 전국 평균의 77% 수준인데요, 2015년이후 계속 내리막입니다. 전자상거래 활용률 부진과 인구 감소*고령화까지 경기 침체 탓만 할 수없는 구조적 요인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주우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 곳은 창원을 대표하는 시청 옆 용호동 상권입니다. 유동인구가 많은 곳인데요. 보시는 것처럼 상가 곳곳이 비어있는 상태입니다." 문을 연 가게들도 마지못해 버티는 곳들이 많습니다. {자영업자 "코로나19가 끝나기만을 기다렸는데 코로나19가 끝나고 더 심해져가지고, 버티는데 다 지금 하나둘씩 접는데 언제 접느냐 그게 문제죠."} 현재 경남의 자영업자 1명당 소득은 전국 평균의 77.8% 수준으로, 2015년 뒤로 계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뒤 부채 증가율이 감소하는 타지역과 달리, 경남은 최근 다시 오르고, 영세화도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경기 탓만 할 수 없는 구조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게 낮은 전자상거래 활용률 입니다. 실적이 있는 자영업자 비중이 8.7%에 불과합니다. 디지털 경제로 전환된 지 오래지만 여전히 골목상권에 머물러 있는 겁니다. 타지역 소비자가 경남에서 쓰는 돈보다, 경남 사람이 타지역에서 지출하는 소비순유출도 심각합니다. 요식업소과 식음료, 유통업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순유출이 발생하는데 순유입의 2배 이상이 빠져나갑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도 한 요인입니다. 이렇다보니 전반적인 소비 규모가 감소할 수밖에 없습니다. {김형준/한국은행 경남본부 기획조사팀 과장 "고령층이 소득과 소비가 더 적기 때문에 전반적인 소비 규모를 감소시킬 수가 있고요, 고령층이 주로 소비하는 업종과 도내 자영업자들이 주로 종사하는 업종과의 불일치로 인하여 자영업자들의 업황 개선이 제약될 수 있습니다."} 이대로면 경기 회복 국면이 와도 경남지역의 자영업 경영 개선은 불투명한만큼, 구조적 요인 해결노력이 시급해 보입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