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불법 모래 채취 정황 넘치는데, 지자체는 '뭉그적'

기사입력
2025-01-31 오후 8:51
최종수정
2025-01-31 오후 8:51
조회수
4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4대강 사업에서 나온 모래를 골재 업자들이 몰래 파내고 있다는 보도, 전해드렸습니다. 불법으로 모래를 채취해 팔아온 정황이 유력한데 정작 양산시는 제대로 된 조사조차 하지 않고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2010년 4대강 사업 당시 파낸 낙동강의 모래를 깔고 그 위로 절대농지를 조성했던 양산의 한 마을. 이곳에서 아무런 허가나 신고도 없이 모래를 채취하는 현장이 발견됐습니다 작업자들은 땅 주인의 의뢰를 받은 농지개량 작업이라고 설명합니다. {모래 채취 작업자/"농지개량인데, 이게 밑에가 모래라면 모래고 모래나 흙이나 똑같은 개념이거든요. 돈을 받고 판매하는 그런게 아니라..."} 하지만 파는게 아니라는 해명과 달리 모래를 실은 덤프트럭은 인근의 한 레미콘 업체로 들어갑니다. 최근 이 지역에서 나온 모래가 부산의 한 골재 업체로 들어간다는게, 업계의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지난해 11월부터 양산 원동면 일대 세 곳의 농경지에서 나간 모래만 240여톤 하지만 정작 양산시는 문제없다는 입장입니다. {민원제기 주민/"모래가 옆에 야적이 돼 있는데 뻔하게 실고나갈 거 아닙니까. 그런데도 (담당 공무원이) 눈을 감아버리더라고 보니깐..."} 주민들의 민원에 현장까지 공무원이 나왔었지만 작업은 계속됐습니다. {양산시 관계자/"모래 채취라는 개념이 아니고 절토 개념이죠. 자기 농지개량을 하려고..."} 여기서 나온 모래 한 트럭당 50만 원이 넘는 가격에 팔리고 있다는 증언에도 양산시의 입장은 그대로입니다. 모래 채취 의혹 보도가 나간 뒤 현장 작업은 완전히 중단된 가운데, 그동안 모래 수백톤을 허가도 없이 어디로, 어떻게 반출했는지 철저한 조사가 시급합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