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사대강 모래 묻은 곳", 불법 모래 채취 의혹

기사입력
2025-01-25 오후 8:58
최종수정
2025-01-25 오후 8:58
조회수
16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사대강 사업 당시 낙동강에서 준설한 모래를 덤프트럭에 잔뜩 실어 어디론가 옮기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골재대란이라고 할 정도로 강모래가 부족한 상황 속에서 모래를 불법 채취했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최한솔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리포트} 경남 양산시 원동면의 한 논*밭에서 굴착기 작업이 한창입니다. 논을 파낸 뒤 그 속에서 나온 모래를 덤프트럭에 담습니다. 그리고는 다른 흙을 다시 채워 넣습니다. {인근 주민/"요번에는 어제, 오늘 해서 한 70대가 나갔습니다."} 모래는 주요 골재 자원으로 채취할 경우 지자체의 허가가 필수인데 허가도 받지 않았습니다. {양산시 관계자/"육상 골재채취 허가를 득해야 되는 상황인데요, 저희는 그런 허가 신청을 받은 적이 (없거든요.)"} 이 일대는 지난 2010년 사대강 사업 때 낙동강에서 퍼낸 모래를 묻고 그 위로 농경지를 조성한 곳입니다. 이곳을 잘 아는 업자가 모래를 불법으로 채취해 판매하려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작업자들은 취재진에게 모래를 반출하는 건 맞지만 내다 파는 건 아니라 답했습니다. {모래 채취 작업자/"농지개량인데 이게 밑에가 모래라면 모래고 모래랑 흙이랑 똑같이 있거든요. 돈을 받고 판매를 하는 그런게 아니라..."} 하지만 반출한 모래를 어디로 가져가는 지에 대해서는 답을 하지 못합니다. 업계에서는 골재대란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귀한 몸인 모래를 그냥 버린다는 건 말이 안된다고 말합니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부산*경남에선) 남해 통영 EEZ 모래 채취가 중단됐어요. 부산에 이쪽에는 상당히 모래가 비싸지요. 그걸 매립용으로 쓸 바에야 뭐하러 파 냅니까. 뭐 돈 된다고..."} 취재 결과 업자들은 지난해 말부터 인근 세곳의 현장에서 모래를 실어나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관할 지자체의 정밀 조사가 시급해보입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