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ubc

ubc 울산방송) 공연계 생계 막막..더는 못 버틴다

기사입력
2021-01-26 오전 09:22
최종수정
2021-01-26 오전 09:22
조회수
110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지난해 울산지역의 공연 매출이 전년 대비 10분의 1로 뚝 떨어졌습니다. 벌써 1년째 공연이 줄줄이 취소되면서 예술인들은 생계유지도 어렵다고 하소연합니다. 김예은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울산의 한 소극장, 자리마다 착석 금지 표시가 붙어 있습니다. 15년째 울산에서 연극을 하고 있는 손동택 씨는 텅 빈 관객석이 어색하기만 합니다. (인터뷰) 손동택/소극장 대표 '딱 1년쯤 됐잖아요. 실질적으로 2월부터 공연이 전부 취소되면서 거의 소극장에서 공연은 12월에는 거의 없었어요.' 성수기인 12월과 1월에도 두 달간 공연은 0건. 수입의 90%가 줄어든 황성호 씨는 1년 동안 아내의 수입에 의존하며 어렵게 극장을 지키고 있습니다. (인터뷰) 황성호/연극배우 '견딜 만큼 견뎠는데 1년을 갈 거라는 생각을 못한 거죠. 아예 이 바닥을 떠나신 분들도 계세요. 이제는 이거로는 생계를 유지하기는 너무 힘들 거라고..' 상황이 어려운 건 무용계도 마찬가집니다. 매달 3건 이상 공연을 위해 매일 연습하던 단원들은 두 달 만에 연습실에 모였습니다. 거리두기 2단계가 두 달 가까이 유지되면서 축제와 행사가 취소돼 설 수 있는 무대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다정/한국무용 단체 대표 '솔직히 '무용이라는 예술이 이 사회에 도움이 안 돼서 이렇게 돈을 벌 수 없구나' 라는 것 때문에 다른 걸 생각해봐야 되나 (고민했어요.)' (1/4CG) 실제 지난 한 해 울산 전체 공연 매출액은 2억 3천만 원으로 재작년의 10분의 1 수준입니다.(OUT) 코로나19라는 혹독한 겨울을 나고 있는 예술인들이 바라는 건 단 한가지. (인터뷰) 김은지/한국무용 단원 '빨리 코로나가 끝나서 관객이 한 명이든, 두 명이든, 열 명이든 저희가 실제로 직접 대면을 한 상태로 많은 교감을 할 수 있는 그런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어요.' ubc 뉴스 김예은입니다.@@ -2021/01/25 김예은 작성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