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해 울산지역의 공연 매출이 전년 대비 10분의 1로
뚝 떨어졌습니다.
벌써 1년째 공연이 줄줄이
취소되면서 예술인들은
생계유지도 어렵다고
하소연합니다.
김예은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울산의 한 소극장, 자리마다
착석 금지 표시가 붙어 있습니다.
15년째 울산에서 연극을
하고 있는 손동택 씨는
텅 빈 관객석이 어색하기만
합니다.
(인터뷰) 손동택/소극장 대표 '딱 1년쯤 됐잖아요. 실질적으로 2월부터 공연이 전부 취소되면서 거의 소극장에서 공연은 12월에는 거의 없었어요.'
성수기인 12월과 1월에도
두 달간 공연은 0건.
수입의 90%가 줄어든
황성호 씨는 1년 동안 아내의
수입에 의존하며 어렵게 극장을 지키고 있습니다.
(인터뷰) 황성호/연극배우 '견딜 만큼 견뎠는데 1년을 갈 거라는 생각을 못한 거죠. 아예 이 바닥을 떠나신 분들도 계세요. 이제는 이거로는 생계를 유지하기는 너무 힘들 거라고..'
상황이 어려운 건 무용계도
마찬가집니다.
매달 3건 이상 공연을 위해
매일 연습하던 단원들은
두 달 만에 연습실에 모였습니다.
거리두기 2단계가 두 달 가까이
유지되면서 축제와 행사가
취소돼 설 수 있는 무대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다정/한국무용 단체 대표 '솔직히 '무용이라는 예술이 이 사회에 도움이 안 돼서 이렇게 돈을 벌 수 없구나' 라는 것 때문에 다른 걸 생각해봐야 되나 (고민했어요.)'
(1/4CG) 실제 지난 한 해
울산 전체 공연 매출액은
2억 3천만 원으로 재작년의
10분의 1 수준입니다.(OUT)
코로나19라는 혹독한 겨울을
나고 있는 예술인들이 바라는
건 단 한가지.
(인터뷰) 김은지/한국무용 단원 '빨리 코로나가 끝나서 관객이 한 명이든, 두 명이든, 열 명이든 저희가 실제로 직접 대면을 한 상태로 많은 교감을 할 수 있는 그런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어요.'
ubc 뉴스 김예은입니다.@@
-2021/01/25 김예은 작성
< copyright © u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