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nn

고물가에 정치 불안... 그래도 명절 인파 북적

기사입력
2025-01-19 오후 9:13
최종수정
2025-01-19 오후 9:20
조회수
13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장기연휴를 앞둔 전통시장 곳곳이 명절 음식을 사려는 사람들로 북적였습니다. 하지만 고물가와 어수선한 시국 탓에 좀처럼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하영광 기자가 명절 앞 전통시장을 둘러봤습니다. <기자> 오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장기연휴를 앞둔 마지막 주말, 부산 자갈치시장입니다. 제사 음식을 미리 사러 나온 사람들로 시장통이 북적입니다. 하지만 훌쩍 올라버린 물가에 선뜻 지갑을 열기가 쉽지 않습니다. {"설 장을 보려해도 돈이 한 20만 원도 아니고, 한 5*6십만 원 들어가니까. 좀 부담스럽게."} 장을 보더라도 음식 양을 줄이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서상순/부산 대연동/(음식을) 적게 합니다. 줄입니다, 먼저보다. 줄이고 그래야 안되겠습니까. 물가는 어차피 올라야 되니까."} 손님들의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다보니 상인들도 속이 타긴 마찬가집니다. {오미경/시장 상인/"작년하고 같은 가격이여도 비싸게 느껴지는 거죠. 체감하는게, 그래서 손님들이 많이 안사가지고 가요."} 명절 앞 제수과일인 배 가격은 지난해에 비해 2배 가량 치솟았고, 사과도 20%나 올랐습니다. "한 전문기관의 조사 결과 올해 설 차례상 비용은 4인가족 기준 전통시장은 30만여 원, 대형마트는 40만여 원으로 역대 최고치 수준입니다." 명절 앞 시내 곳곳의 시장마다 인파가 붐볐습니다. 하지만 고물가와 최근 이어지는 정치불안 탓에 명절 기분을 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홍길식/부산 수정동/"정치적으로도 시끄럽고 하니까 (이번 명절은) 조용하게 보내야지요."} {성계행/시장 상인/"나라가 좀 시끄러우니까, 조금 손님들도 주춤하는게 많이 있어요."} 성큼 다가온 설 명절, 지자체에서도 전통시장 사은품 행사 등을 추진하며 지역상권 활성화에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