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nn

해상운임 고공행진에 지역 수출기업 울상

기사입력
2025-01-08 오후 8:52
최종수정
2025-01-08 오후 8:56
조회수
8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해상운임 고공행진에 지역 수출기업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해상운송 비중이 높은 수출기업들의 물류비 부담 급증으로 경쟁력을 잃을까 우려됩니다. 김동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산 화전산업단지의 선박 기자재 제조기업입니다. 선박용 레벨측정시스템과 장치, 평형수 계측 장비 등이 주력 생산품입니다. 생산품의 3분의 2는 중국과 베트남, 유럽 등으로 출하하는 대표적인 수출기업인데 해상운임 급등에 어려움이 큽니다. {이은미/한라아이엠에스 기술영업팀 매니저/"견적 단계에서 받은 운임과 실제로 출고했을 때 운임이 많게는 40%, 50%까지 오르기도 해었거든요. 이미 수출 단계이기 때문에 고객한테는 부담을 할 수 없고,,,"} 오른 운임에 대한 부담은 고스란히 지역 업체들의 몫입니다. 마진을 최소화해 수주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운임 상승은 이익 감소로 직결됩니다. "해상운임이 큰폭으로 상승한 뒤 안정화되지 않고 있어 수출기업의 피해가 누적되고 있습니다." 부산상공회의소가 지역의 제조기업 물류비 실태를 조사한 결과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중이 10%를 웃도는 기업이 32.4%에 달했습니다. "높아진 물류비에 납기지연, 채산성 상실에 따른 수출 포기, 원부자재 조달 차질 등의 직접적인 피해 사례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전종윤/부산상공회의소 조사연구팀 과장/"지난해부터 두배 이상 증가했던 해상 운임이 연중 지속적으로 고운임으로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고 이러한 고운임 현상이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에,,,"} 러-우 전쟁 이슈와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두고 관세 인상 등 수출 환경의 불안 요인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올해 상황도 만만하지 않습니다. {김율성/한국해양대 글로벌물류대학원 교수/"계속 모니터링을 해야 합니다. 해상 운임에 대한 모니터링. 그래서 해상운임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시점에서는 부산시에서 나서서, 상경계에서 나서서 일단 지원하는 부분들, 금리적인 부분들 이런 지원들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봅니다."}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에 따른 리스크가 우려되는 만큼 지역 기업들의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물류비 지원 정책이 따라야 할 시점입니다. KNN 김동환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