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학대아동 전담공무원' 삐걱, 전문성*인력 태부족

기사입력
2021-01-23 오후 8:27
최종수정
2021-01-23 오후 8:27
조회수
113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정인이 사건에서 보듯 아동의 생사를 좌우할 정도로 현장 심사의 전문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난 10월부터 부산에서도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 제도를 시작했는데요. 현장 경험을 갖춘 전문인력이 크게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아동학대 전담공무원 권고인원은 2명이지만 단 1명이 근무하고 있는 부산 동구청! 1명이 24시간 현장대기 업무를 담당하면서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변은순/부산 동구청 아동청소년계장/"(아동학대 전담공무원은) 365일 대기를 해야하거든요. 혼자서 다 해야하니까 그부분이 가장 힘듭니다."} 해운대구는 권장 인원이 5명이지만 3명 배치, 부산진구도 6명 가운데 5명, 동래구도 4명중 2명만 있는 상황입니다. 아동학대 신고 접수부터 관리까지 공무원 1명이 많게는 백여건 가까이 담당할 정도로 인력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조윤영/부산종합사회복지관장 /"아동학대에 대한 판단이 굉장히 미묘하거나 어려운 경우도 많아서 한두명으로는 굉장히 어렵고 적어도 팀중심의 그런 아동학대 판정이 필요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전담공무원이 현장 경험이 없고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업무를 익힐 틈도 없이 바로 투입되고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일을 한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사공예령/부산시아동종합보호센터 아동보호팀장/"아동이 스스로 피해 여부를 진술을 해야하는데 그부분이 쉽지 않습니다. 특히 어릴 경우에는... 그런 부분에 대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또 2,3년 마다 바뀌는 순환직이어서 업무 연속성도 떨어집니다. 부산에서도 지난해 1천7백여건, 경남에선 1천3백여건의 아동학대가 발생했고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상황! 올해까지 아동학대 전담인력을 늘리겠다는 계획이지만 시작부터 곳곳에서 삐걱대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